분야 : 종교·철학 총 4,272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종교·철학
도은일고 / 道隱逸稿 [종교·철학/유학]
도은 황도연의 시문집. 목판본, 서: 김주덕(1964), 2권 1책(1권부록1권 合1책). 저자의 손자 세명이 시문과 잡저, 만사와 행장, 묘갈 및 제영 등을 엮어 상하 2권으로 편집하고 여러 차례 교정을 거쳐 1966년에 목판본으로 간행하였다. 권수에는 김주덕의 서문
도은집 / 陶隱集 [종교·철학/유학]
도은 권호신의 문집. 목활자본. 발: 장건덕 장두연. 단책. 1921. 권두에는 권상익이 쓴 서문과 권행으로부터 35세손에 이르기까지의 세계도가 수록되어 있다. 권1에는 차운한 시의 원운을 비롯하여 3편의 시와 4편의 만사, 권2는 부록으로 먼저 단곡 곽진‧장암 김창조
도응유 / 都應兪 [종교·철학/유학]
1574∼1639. 조선 중기의 문신·의병장 아버지는 원량이다. 정구의 문인이다. 선조대에 진사시에 합격하였다. 최영경을 구호하고 오현의 문묘종사를 청하는 상소를 올렸다. 1611년(광해군 3) 정인홍이 이언적·이황을 배척하자 그 잘못을 반박하였고, 박이립 등이 정구를
도장 / 道藏 [종교·철학/도교]
집대성한 도교경전. 오늘날 유행하는 도장은 명나라 때 간행된 <정통도장>과 청나라 때 간행된 <도장집요>를 말한다. 도장은 통진, 통현, 통신의 삼통과 태현, 태평, 태청, 정일의 사보로 분류된다. 도교전적은 삼통삼십육류와 사부로 분류된다. 오늘날 유행하는 <정통도장
도재고 / 都齋庫 [종교·철학/민간신앙]
고려시대 제사에 관한 일을 맡아보던 관청. 문종 때 설치된 것으로 보이는데, 산천·일월·성신 등에 제사하는 제물을 취급, 보관하던 특수 창고로 추측된다. 관원으로는 사 1인, 부사 3인, 판관 2인 등이 있었으며, 이속으로는 기사 4인, 기관 1인, 급사 2인이 있었
도피안사 / 到彼岸寺 [종교·철학/불교]
불교 사찰의 하나. 대한불교조계종 제3교구의 본사인 신흥사의 말사이다. 강원도 철원군 동송면 관우리 화개산에 있다. 865년 도선이 창건하였다. 국가의 비보사찰 가운데 하나였다. 1898년 화재로 소실된 후 주지 월운이 중수하였다. 문화재로는 국보 제63호인 도피안사철
독노회 / 獨老會 [종교·철학/개신교]
장로교의 조직. 1907년 평양장로회 신학교 제1회 졸업생 7명이 목사안수를 받으면서 조직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에 선교사 33명, 찬성회원 9명이 참여하여 독노회를 구성하였다. 이 독노회에서 최초의 한국인 장로교 목사가 7명 탄생하였다. 독노회는 한국장로교총
독서기 / 讀書記 [종교·철학/유학]
조선시대에 성리학자 윤휴가 지은 책. 총 11권. 이 책은 <백호전서>에 수록되어 있다. 당시의 주희의 학설을 과감히 배격하고 새롭게 유교 경전들을 주해한 책이다. 정통 성리학자들은 이 책을 이단으로 배척하였다. 이 중에서도 <중용>과 <대학>에 대한 윤휴의 해석은 주
동강서원 / 東江書院 [종교·철학/유학]
경상북도 경주시 강동면 유금리에 있는 서원. 1695년(숙종 21)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손중돈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오던 중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1868년(고종 5)에 훼철되었다. 훼철 직후인
동거집 / 東渠集 [종교·철학/유학]
동거 송정환의 시문집. 목판본 4권 2책. 풍산김씨 김세락의 서문과 선성김씨 김석이 동거 사후 200여년 뒤 1925년에 기록한 발문이 있고, 족후손 계흠과 동구의 5세손 인옥의 후지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