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근대 3,894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근대
  • 사약별감이력서 / 司鑰別監履歷書 [정치·법제]

    1908년 2월 궁궐 내 사약(司鑰)과 별감(別監)의 이력을 정리한 문서. 제1면 우측 상단에 '장서각인'이 있다. 문서에는 사약과 별감 이외에도 각감청 소속의 각감, 가각감을 비롯해 화초지기, 수공, 숙수 등의 명단이 수록되어 있다. 당시 궁궐의 운영상을 파악할 수

  • 사요 / 四要 [종교·철학/원불교]

    원불교의 실천 덕목. 사은에 대한 보은의 구체적 방법이다. 자력양성, 지자본위, 타자녀교육, 공도자숭배를 말한다. 자력생활은 각자의 의무와 책임을 다하는 것이다. 지자본위는 항상 배울 줄 알아서 지식의 평등세계를 건설하자는 것이다. 타자녀교육은 교육평등의 세계를 건설하

  • 사월참변 / 四月慘變 [역사/근대사]

    1920년 4월 일본군이 한인을 학살한 사건. 1920년 4월 신한촌을 기습하여 우리의 한민학교와 한민보관 등 주요건물을 불태우고 무고한 한인을 학살하였다. 4월에서 5월까지 자행된 일본군의 만행으로 무수한 교민이 학살되었을 뿐만 아니라, 연해주에서 활동하고 있던 최재

  • 사이고 다카모리 / 西鄕隆盛 [정치·법제/외교]

    1827-1877. 메이지유신 원훈. 정한론자. 세이난 전쟁 참가. 1844년 사이고는 군방서역이 되었다. 1871년 메이지정부에 들어가 친위병을 설치하는 데 진력하였다. 1872년 육군 대장이 되었다. 1873년 사이고는 전권대사를 조선에 파견하여 정면교섭을 시도해보

  • 사이온지 긴모치 / 西園寺公望 [정치·법제/외교]

    1849-1940. 근대 일본의 정치가. 청일전쟁 당시 외무대신 대리. 국제협조론자. 1857년 우소장, 1861년 우근위권중장에 임명되고 근습으로 궁중에 출사하였다. 1870년부터 1880년까지 프랑스 소르본대학 법과에서 공부하였다. 1881년 참사원 의관보, 이듬해

  • 사이토저격의거 / 사이토狙擊義擧 [역사/근대사]

    1919년 9월 2일 강우규가 서울역에서 제3대 조선 총독으로 부임해 오던 사이토를 암살하려다 미수에 그친 일. 사이토저격의거는 한민족의 불굴의 독립 의지를 뚜렷이 보여주는 사건이었으며, 한국독립운동사에 일대 전기를 가져왔다. 의거를 계기로 독립운동 방략에 전환을 가져

  • 사인여천 / 事人如天 [종교·철학]

    동학의 2대교주 최시형이 제시한 동학의 교리. 사람을 하늘처럼 섬기라는 가르침이다. 최시형은 '도인의 집에 사람이 오거든 사람이 왔다고 하지 말고 하느님이 강림하였다고 말하라'라고 하였고, "아이를 때리는 것은 곧 하늘을 때리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최시형의 사인여천

  • 사자춤 / 獅子춤 [예술·체육/무용]

    사자의 탈을 쓰고 추는 춤. 삼국시대에 서역(西域)으로부터 들어와 연행되었다. 진흥왕 때 우륵(于勒)의 12곡 중에 「사자기 獅子伎」의 이름이 나오고, 최치원(崔致遠)의 「향악잡영 鄕樂雜詠」 5수 중 산예(狻猊)는 바로 사자무에 대하여 읊은 시이다.그리고 1893년(고

  • 사적 유물론 / 史的唯物論 [교육]

    마르크스주의 역사관으로 변증법적 유물론을 사회생활과 역사에 적용한 인간사회의 발전법칙에 관한 이론. 역사발전의 원동력을 운명, 신의 섭리, 세계정신 등 초자연적인 것이나 우연적인 것으로 보는 관념적 역사관이 지배적이었던 데 반해, 사적 유물론에서는 정치, 법, 종교,

  • 사찰령 / 寺刹令 [종교·철학/불교]

    1911년 일제가 한국불교를 억압하고 민족정신을 말살하기 위해 제정, 공포한 법령. 한말 승려들은 의병전쟁과 긴밀한 연관관계로 일제는 사찰을 억압하기 위해서 이 법령을 제정공포하였다. '사찰령'은 1911년 6월 3일 공포된 것으로 전문 7조와 부칙으로 되어 있다. 그

페이지 / 390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