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 조선 전기 3,384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 조선 전기
  • 성건 / 成健 [종교·철학/유학]

    1439(세종 21)∼1496(연산군 2). 조선 전기의 문신. 석인 증손, 할아버지는 엄, 아버지는 순조. 어머니는 이란의 딸이다. 영의정 준의 동생이다. 1468년 춘장문과에 병과로 급제, 예문관검열이 되었다. 동부승지, 좌부승지, 우승지, 공조판서, 형조판서 등을

  • 성관자재구수육자선정언해 / 聖觀自在求修六字禪定諺解 [언어/언어/문자]

    관음보살의 주문 6자를 암송하면 온갖 번뇌를 끊고 불과(佛果)를 얻는다는 내용의 책. 불분권 1책. 1560년(명종 15) 평안도 평원의 숙천(肅川)에서 간행되었다. 발문에 의하면, 이 책은 원래 우리나라에 없었는데, 중국에서 구득하여서 언해하여 간행하였다고 한다.

  • 성균관 / 成均館 [교육/교육]

    조선시대에 인재양성을 위하여 서울에 설치한 국립대학격의 유학교육기관. 성균관은 조선 왕조가 들어선 뒤에도 그대로 존치되었다. 1395년(태조 4)부터 건축공사가 시작되어 3년 만에 대성전(大聖殿 : 단종 때 大成殿으로 개칭)과 동무(東廡)·서무(西廡)의 문묘를 비롯하

  • 성기 / 省記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궁궐과 중요관청의 야간당직자·경비원·순찰자들의 명단을 장부에 기록하는 제도. 이는 병조의 성기색(省記色)이란 부서에서 담당하였는데, 매일 신시(申時 : 오후 3∼5시)까지 작성하여 낭관이 직접 왕에게 보고하고 결재를 받도록 하였다. 이러한 성기운영제도는 궁궐

  • 성담년 / 成聃年 [종교·철학/유학]

    생몰년 미상. 조선 전기의 문신. 석용의 증손, 할아버지는 개, 아버지는 희, 어머니는 이견기의 딸이다. 생육신 담수의 동생이다. 1470년(성종 1) 별시문과에 갑과로 급제, 1477년 경연검토관에 임명되었고, 이어서 예문관수찬·사간원정언을 역임하고 1479년에 공조

  • 성당창 / 聖堂倉 [경제·산업/경제]

    전라북도 익산시 성당면 성당리에 설치되었던 조선시대의 조창. 전주·용안·임실·남원·임피·김제·장수·금구·운봉·익산·만경·여산·금산·진산·태인·옥구·진안·고산·무주·함열 등 20개 고을의 세곡을 수납하였다. 성당창에는 배 한 척의 적재량이 500∼600석인 조선 63척

  • 성덕가 / 聖德歌 [문학/고전시가]

    1402년(태종 2)하륜(河崙)이 지은 악장(樂章). 총12장. 작품은 현재 전하지 않으며, 원래의 명칭은 ‘조선성덕가(朝鮮聖德歌)’이다. 『태종실록』 권4 태종 2년 8월조에 소개되어 있다. 태조를 위하여 지었다 하며, 정도전(鄭道傳)의 「수보록 受寶籙」을 대신하고자

  • 성리대전 / 性理大全 [종교·철학/유학]

    명나라 성조(영락제)의 명을 받아 호광 등 42명의 학자가 송나라 때 성리학설을 집대성하여 편집한 책. 1415년에 완성된 이 책에는 송대와 원대의 성리학자 120여 명의 학설을 채택하였으며, 전체가 70권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 구성은 70권 중에 25권이 송대 학자

  • 성묘 / 省墓 [사회/가족]

    묘를 살펴서 손질하는 것. 주자의 『가례』에 의하면 성묘는 묘제(墓祭)의 한 부분으로 되어 있으나, 본래는 성묘에 제례의 절차가 합쳐져 나중에 묘제로 발전한 것으로 보인다. 성묘의 형식은 크게 보아 분묘의 손질과 배례(拜禮)로 나뉘어진다. 이러한 형식은 죽은 조상의 육

  • 성복 / 成服 [생활]

    국상을 당하여 상복을 입는 의식. 성복은 대렴 다음 날에 하는데 국장에서는 대상이면 6일째 되는 날에 거행하고, 소상이면 4일째 되는 날에 한다. 이때에 왕세자, 왕비, 대군 등과 종친 및 문무백관이 상복을 갖춰 입고 빈전에 나아가 곡을 하고 전을 올린다. 상례 때

페이지 / 339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