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개념용어 총 1,896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개념용어
한글맞춤법 [언어/언어/문자]
문자체계로서의 한글 자모를 확립하고 그것으로써 국어를 표기하는 규범. 한글맞춤법이라는 용어가 생기기 이전에는 한자어로서 언문철자법(諺文綴字法) 또는 조선문철자법(朝鮮文綴字法)이라고도 불렀기에 ‘맞춤법’은 ‘철자법’의 신조어가 되는 셈이었다. ‘철자법’이라는 용어는 개화
한글지문자 / 한글指文字 [언어/언어/문자]
손과 손가락으로 한글의 자음과 모음을 표현하는 농인들의 의사소통 수단. 농인들이 의사소통할 때 수화로 표현하기 곤란한 어휘를 손과 손가락으로 한글의 자음과 모음을 표현하는 것으로 영어로는 핑거스펠링(fingerspelling)이라 한다. 국립서울맹아(현재 서울농학교와
한문 / 漢文 [문학/한문학]
한자로 이루어진 문어체의 문장. 중국에서 한문이라 함은 당시(唐詩)나 송사(宋詞) 혹은 원곡(元曲), 명청소설(明淸小說) 등과 대비되어, 한(漢)나라의 문(文)이라는 뜻으로 쓰여왔다. 그러나 주변국들, 특히 우리 나라나 일본은 이러한 구별을 하지 않고 한자어로 된 문장
한문소설 / 漢文小說 [문학/한문학]
한문으로 창작되고 읽혔던 고전소설. 한문소설의 연원은 고대 설화문학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 그 구체적 모습은 『삼국사기』·『삼국유사』 그리고 『수이전 殊異傳』의 잔편(殘篇; 남은 작품)에서 살필 수 있다. 이들 문헌에 수록된 설화 중에는 ‘전기(傳奇)’양식에 속할
한문학 / 漢文學 [문학/한문학]
중국의 문자인 한자로 기록된 문학양식. 우리 나라에서는 『동문선』이 갈래의 전범이 되고 있으니, 그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사(辭)·부(賦)·고시(古詩)·율시(律詩)·절구(絶句)·배율(排律)·조칙(詔勅)·교서(敎書)·제고(制誥)·책문(冊文)·비답(批答)·표전문(
한시 / 漢詩 [문학/한문학]
한자로 창작된 정형시. 한시는 자수(字數)·구수(句數)의 다소, 압운의 유무, 운자(韻字)의 위치 등을 기준으로 분류된다. 매구(每句)의 자수는 5언·7언이 가장 많고 4언·6언도 있다. 구수는 4구·8구 및 그 밖의 것으로 크게 나뉘며, 4구의 대부분은 절구(絶句),
한자 / 漢字 [언어/언어/문자]
중국어를 표기하는 중국 고유의 문자. 소리를 단위로 만들어진 글자를 표음문자(表音文字)라 하고, 뜻을 단위로 만들어진 글자를 표의문자(表意文字)라 한다. 표음문자는 한 글자가 곧 한 단위의 소리에 해당할 뿐이며, 그것만으로 뜻을 드러내지는 못한다. 그러나 표의문자는 한
한자교육 / 漢字敎育 [언어/언어/문자]
한자·한문을 가르치는 일. 한자·한문 교육의 초기단계에서는 ≪천자문≫이 쓰였으며, 그러다가 우리 나라에서 유합류(類合類)·자회류(字會類)가 만들어져서 한자교육을 위한 교재로 사용되었다. 그 가운데 잘 알려진 것이 ≪유합≫과 ≪훈몽자회 訓蒙字會≫이다. 특히 ≪훈몽자회≫는
한자어 / 漢字語 [언어/언어/문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한자의 결합으로 되어 한국어로서 사용되는 한국식 발음의 단어. ① 중국어에서 쓰이는 것이 그대로 쓰이되 발음이 한국식인 것 : 군자(君子)·필부(匹夫)·성인(聖人). ② 한국어에서 만들어져 쓰이고 중국어에서는 쓰이지 않는 것 : 전답(田畓)·기차
한정어 / 限定語 [언어/언어/문자]
부사(副詞)와 같은 일을 하는, 즉 용언이나 부사 앞에서 이들을 꾸며 주는 기능을 담당하는 문장성분. 체언을 꾸며 주는 일을 담당하는 수식어(修飾語)와 짝이 되는 문장성분으로서 주어·서술어 및 목적어 등을 문장의 근간성분(根幹成分), 또는 주성분이라 한다면 한정어는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