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지명 > 자연 지명 총 981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지명 > 자연 지명
대덕산 / 大德山 [지리/자연지리]
경상북도 김천시 대덕면과 전라북도 무주군 무풍면에 걸쳐 있는 산. 높이는 1,290m이다. 대덕산은 소백산맥의 고봉으로 대부분 안산암(安山岩)으로 이루어져 있다. 산정부에는 부분적으로 조면암질(粗面岩質) 암석이 나타난다. 화산암과 주변에 분포하는 화강암의 차별침식에 의
대덕산 / 大德山 [지리/자연지리]
함경남도 북청군 북청읍과 덕성면에 걸쳐 있는 산. 대덕산은 해발 1,461m로, 함경남도의 동북쪽 덕성군, 이원군, 북청군의 경계인 대덕산줄기의 주봉이다. 북청읍에서 12㎞ 정도 떨어져 있으며 동북쪽 계곡을 따라 광제사(廣濟寺)까지 오르고 등산로를 따라 약 3㎞ 오르면
대도 / 大島 [지리/자연지리]
경상남도 하동군 금남면 대도리에 있는 섬. 2009년 기준으로 인구는 185명이 거주하고 있으며, 세대수는 60세대이다. 취락은 섬의 중앙과 동쪽 해안에 주로 분포한다. 1690년에 장수이씨 부부가 처음 섬에 들어온 이후 장수이씨의 집성촌으로 잘 알려져 있다. 토지이용
대동강 / 大同江 [지리/자연지리]
평안남도 북동부 낭림산맥의 서쪽에서 발원하여 남서류하다가 남포특별시 부근에서 황해로 흘러드는 강. 길이는 438㎞이고, 유역면적은 1만 6673㎢이다. 우리나라에서 다섯 번째로 긴 강이다. 좌안에 지류가 많은 비대칭적 하계로, 총 443개의 지류가 있으며 그중에서 길이
대동만 / 大東灣 [지리/자연지리]
황해남도 옹진군 옹진반도와 용연군의 장산곶 사이의 해상에 있는 만. 용연군, 태탄군, 옹진군과 접하고 있고, 해안선의 길이는 174.0㎞, 만 어귀의 너비는 35.0㎞이다. 38선이 만 중남부를 지난다. 만 연안에는 송월포구를 비롯하여 태탄, 덕동 등 많은 포구들이 있
대두도 / 大斗島 [지리/자연지리]
전라남도 여수시 남면 두라리에 있는 섬. 2009년 기준으로 인구는 236명(남 110명, 여 126명)이 거주하고 있으며, 세대수는 85세대이다. 1670년경 서씨(徐氏)가 들어온 뒤 장씨(張氏)·김씨(金氏)가 차례로 들어와 촌락을 이루게 되었다. 취락은 선창·인금·
대둔도 / 大屯島 [지리/자연지리]
전라남도 신안군 흑산면에 있는 섬. 2009년말 기준으로 인구는 474명(남 262명, 여 212명)이고, 세대수는 236세대이다. 취락은 오리·도목리·수리에 분포하고 있다. 1650년경 광산김씨(光山金氏)가 처음으로 들어와 살았다고 전한다. 토지이용 현황은 논은 없고
대둔산 / 大芚山 [지리/자연지리]
전라북도 완주군 운주면과 충청남도 논산시 벌곡면 및 금산군 진산면에 걸쳐 있는 산. 대둔산 동쪽 2㎞ 지점에 있는 350m의 배티[梨峙]는 과거 전라도와 충청도를 연결하는 주요 통로였고,지금도 여수∼청주를 잇는 17번 국도가 통과한다. 이 고개는 임진왜란 당시 완주군
대둔산 대흥사 일원 / 大屯山大興寺一圓 [지리/자연지리]
전라남도 해남군 삼산면에 있는 대둔산 일대의 명승지. 면적 8,665,272㎡. 대둔산은 두륜산(頭輪山)과 연봉을 이루며 곳곳에는 기암괴석이 솟아 있다. 주위에는 상록활엽수림이 울창하고 산세가 아름다우며, 북쪽에는 대흥사(大興寺)를 비롯하여 여러 개의 암자가 있다. 그
대둔산도립공원 / 大芚山道立公園 [지리/자연지리]
전라북도 완주군과 충청남도 논산시·금산군 지역에 있는 도립공원. 금산 지역의 대둔산도립공원 면적은 8,086천㎡(2006년), 완주 지역은 48,970천㎢(2005년), 논산 지역은 16,774천㎡(2007년)이다. 대둔산의 주요 사찰로는 안심사(安心寺)·약사(藥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