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전주시 / 全州市 [지리/인문지리]
전라북도 중앙에 위치한 시. 주변은 대부분이 완주군에 둘러싸여 있으며, 서남쪽의 일부가 김제시에 접하고 있다. 동경 126°59′∼127°14′, 북위 35°43′∼35°53′에 위치하고 있다. 면적은 205.57㎢이고, 인구는 65만 2282명(2015년 현재)이다.
전주시장 / 全州市場 [지리/인문지리]
전라북도 전주에 있었던 시장. 전주는 전라도의 감영 소재지로서 행정을 비롯하여 농상공업의 중심지였다. 《택리지 擇里志》에서는 전주를 서울과 같은 대도회라고 기술하고 있다. 전주시장은 인근의 김제·금산·금구·진안 등지와 밀접한 상업망을 이루고 있었다. 《만기요람 萬機要覽
전주체육관 / 全州體育館 [예술·체육/체육]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덕진동에 있는 실내종합체육관. 1969년 11월 기공하여 1973년 3월 준공하였다. 부지 5,000평에 건평 2,075평, 원형 3층 콘크리트구조로 4,291명(좌석)을 수용할 수 있는 체육관이다.실내에 사무실 30개, 화장실 11개소, 출입문
전주향교 / 全州鄕校 [교육/교육]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교동에 있는 향교. 고려 말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配享)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당시의 위치는 현재 경기전(慶基殿) 근처였으나 태조(太祖) 이성계의 수용(晬容)을 봉안하기 위하여 경기전이 준공되자 1410년(
전찬 / 典贊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내명부의 정8품 궁관직. 1428년(세종 10) 내관제도에 의하면 정7품이고, 정원은 1인이다. 직속상관인 상의(정5품)의 지시와 감독을 받았으며, 조회에 손님을 돕고 안내하며, 연회에 필요한 준비를 주관하였다. ≪경국대전≫에 전식·전악과 같은 정8품의 등급으
전채 / 典彩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내명부의 종8품 궁관직. 1428년(세종 10) 내관제도에 의하면 정7품이고, 정원은 1인이다. 직속상관인 상공의 지시와 감독을 받으며, 비단과 실, 그리고 솜을 맡았다. 그 뒤 ≪경국대전≫에 전등·전정과 같은 종8품의 등급으로 법제화되었다.
전천군 / 前川郡 [지리/인문지리]
자강도의 중부에 위치해 있는 군. 전천군은 동쪽으로 룡림군, 서쪽으로 위원군과 고풍군, 남쪽으로 송원군과 동신군, 북쪽으로 성간군과 위원군에 접해 있다. 동경 126°10′∼126°36′, 북위 40°23′∼41°45′ 사이에 위치하며, 면적 1,001.2㎢, 인구는
전첨 / 典籤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종친부의 정4품 관직. 정원은 1인이다. 1430년(세종 12) 11월에 종친부를 설치할 때 전첨사를 두어 요속으로 정4품의 전첨 1인, 종5품의 부전첨 1인, 종8품의 녹사 1인, 종9품의 부녹사 1인을 두었으나, 모두 일이 한가하여 타관이 겸직하였다. 그
전청음 / 全淸音 [언어/언어/문자]
중국의 등운학(等韻學)에서 현대 언어학에서의 무성무기장애음(voiceless unaspirated obstruent)을 가리키는 말. 중국 등운학의 일반적인 정의에 의하면, 전청(全淸)은『운경(韻鏡)』의 36자모(字母) 중에 幫[p]·非[f]·端[t]·知[ʈ]·見[k
전춘 / 餞春 [생활/민속]
화창한 봄을 보내기가 아깝고 아쉬워서 잔치를 베풀고 하루를 즐기는 풍속. 음력 3월은 계춘(季春)이어서 봄의 마지막 달이고, 그믐날은 봄의 마지막 날이다. 봄을 그냥 보내기가 아쉬워서 사람들은 음식을 준비해가지고 산이나 계곡의 경치좋은 곳을 찾아가서 춘흥에 젖어 하루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