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제도 총 2,138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제도
정조사 / 正朝使 [정치·법제/외교]
조선시대 원단에 명나라나 청나라에 보내던 사절 또는 그 사신. 동지사·성절사와 더불어 삼절사의 하나이다. 이는 무슨 일이 있을 때마다 보내던 임시사절이 아니라 정례사행이었다. 이 정례사행은 원래 별도로 엄격히 지켜지다가 1645년(인조 23)부터 피차의 편의를 보아
정초청 / 精抄廳 [정치·법제/국방]
조선 후기에 설치되었던 군영. 1636년(인조 14) 병자호란 이후 병조판서 이시백의 건의에 의해 병조 소속의 기병·보병을 정초해 이를 정초군이라 하고 번상숙위하도록 하였다. 이후 1668년에 처음으로 정초청으로 승격 발족하였다. 정초청의 목적은 상번 기병의 요역화를
정헌대부 / 正憲大夫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문신 정2품 상계의 품계명. 조선이 건국된 직후인 1392년(태조 1) 7월 문산계의 품계인 정헌대부·자헌대부가 제정되어 ≪경국대전≫에 그대로 수록되었다. 정2품에 해당되는 관직으로는 우참찬·지사·판서·판윤·대제학·세자좌빈객·세자우빈객·도총관·제조 등이 있다
제1공화국 / 第一共和國 [정치·법제/정치]
1948년 8월 15일 정부수립 후 1960년 4월혁명으로 제2공화국이 탄생하기까지 존속한 우리나라 최초의 공화헌정체제. 3권분립 원칙에 의한 대통령중심제였다. 철저한 반공주의를 내걸고 국가보안법을 제정, 공산당을 불법화했으며, 미국의 원조를 받아들였다. 이후 부정부패
제2공화국 / 第二共和國 [정치·법제/법제·행정]
대한민국의 두번째 공화헌정체제. 4월혁명으로 제1공화국이 붕괴된 후 6월 15일에 개정헌법이 통과되고 8월 민의원, 참의원 합동회의에서 대통령에 윤보선, 국무총리에 장면이 선출되어 1차내각이 이루어짐으로써 출범하여 1961년 5월 16일 군사쿠데타가 일어나기까지 민주당
제3공화국 / 第三共和國 [정치·법제/법제·행정]
1963년 12월 17일 출범, 1972년 <10월 유신>직전까지 존속한 우리나라의 세번 째 공화헌정체제. 제3공화국의 주요시책으로는 경제개발 5개년계획 추진, 한일국교정상화 추진, 베트남 파병, 8.15평화통일선언 발표, 남북대화 추진, 경부고속도로 건설, 8.3조치
제4공화국 / 第四共和國 [정치·법제/법제·행정]
<유신헌법>에 의거, 1972년 12월 27일부터 1981년 3월 2일까지 존속한 우리나라의 4번째 공화헌정 체제. 대통령이 입법, 사법, 행정의 주요 3권을 장악, 전제적 권한을 행사하는 구조의 통치구조를 가지고 있었다. 주요시책으로는 새마을운동, 중화학공업육성정책,
제5공화국 / 第五共和國 [정치·법제/법제·행정]
1980년 10월 27일 공포 시행된 제5공화국 헌법에 따라 1981년 3월 3일 전두환이 제12대 대통령으로 취임함으로써 정식 출범, 1988년 2월 25일 제6공화국 출범전까지 만 7년 동안 지속된 우리나라의 다섯번째 공화헌정체제. 통치구조의 특색은 대통령 7년 단
제5차 개헌 / 第五次改憲 [정치·법제/법제·행정]
1962년 11월 민정이양을 위한 헌법개정안이 국가재건최고회의에서 의결된 후, 12월 17일 국민투표에 의해 확정, 26일 공포되어 이루어진 헌법개정. 제3공화국의 헌법이 된 이 개헌안의 주요내용은 대통령제 채택, 소선거구제 채택, 국회의 단원제와 정당국가화에 따른 국
제6공화국 / 第六共和國 [정치·법제/법제·행정]
1987년 10월 27일 국민투표로 확정된 제6공화국 헌법에 따라 12월 16일 실시된 제13대 대통령선거에서 민정당의 노태우 후보가 당선. 1988년 2월 25일 대통령에 취임함으로써 출범, 현재까지 지속되고 있는 우리나라의 여섯번째 공화헌정체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