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현대 > 현 대 4,703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현대 > 현 대
  • 멸악산맥 / 滅惡山脈 [지리/자연지리]

    황해도의 중앙부를 거의 남서방향으로 가르면서 이어지는 산맥. 이 산맥은 황해도 서단(西端)인 장산곶을 지나 중국의 산둥반도(山東半島)에 연속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산맥의 북쪽 사면에는 철광ㆍ형석(螢石)ㆍ중정석(重晶石) 등의 지하자원이 풍부하다. 북쪽 사면에서 발원하

  • 명 / 銘 [문학/한문학]

    한문문체의 하나. 명은 금석·기물·비석 같은 데에 자신을 경계하기 위한 글, 남의 공적을 축송(祝頌)하는 글, 또는 사물의 내력을 기록한 글, 고인의 일생을 적은 글을 새겨넣은 것을 총칭하는 개념이다. 『동문선』에 보이는 가장 오래된 명은 「도솔원종명 兜率院鐘銘」이다.

  • 명간선바위 / 명간선바위 [지리/자연지리]

    함경북도 명천군 서면 입석동(지금의 화성군 입석리)에 있는 바위. 높이 103m. 제3기말∼제4기초에 분출한 어랑천현무암으로 덮여 있던 곳이 명간천(明澗川)의 침식작용에 의하여 깎이면서, 분화구였던 부분만 침식잔애로 남아 벌판 가운데 솟아있게 되었다. 어랑천현무암대지와

  • 명경대 / 明鏡臺 [지리/자연지리]

    강원도 금강군 내강리에 위치한 금강산 명소 중 하나. 황천강 건너편 산 위에 돌로 쌓은 고성(古城)이 있는데, 신라의 경순왕이 고려에 사직을 넘김에 따라 그의 왕자인 혜마왕(惠摩王)이 세상을 버리고 이곳에 와 숨어 살았다고 전한다. 명경대를 중심으로 한 명경대 구역은

  • 명관치장승설화 [문학/구비문학]

    지혜로운 원님이 장승을 치죄하여 범인을 잡아냈다는 내용의 설화. 소화(笑話) 중 지략담(智略譚)에 속한다. 선조 때 고상안(高尙顔)의 『효빈잡기(效嚬雜記)』, 조선 영조 때 박양한(朴亮漢)의 『매옹문록(梅翁聞錄)』 및 19세기 중엽의 『청구야담(靑丘野談)』에는 ‘청주쉬

  • 명당가 / 明堂歌 [문학/고전시가]

    작자·연대 미상의 가사. 형식이나 내용으로 보아 조선 후기의 것으로 짐작된다. 한국 전래의 풍수지리설에 입각하여 자손들이 부귀영화를 누릴 수 있는 복지(福地)를 골라 집을 짓고, 그곳에서 행복하게 살겠다는 내용이다. 서두를 보면, “현무산(玄武山)이 주산(主山) 되고

  • 명동 / 明洞 [지리/인문지리]

    서울특별시 중구에 위치한 행정동(行政洞). 서울의 대표적 상업지구로 도·소매업과 금융업 등 서비스 산업의 밀집지역이다. 저동 1가·충무로 1·2가·명동 1·2가·남산동1·2가·3가·예장동 등 법정동 9개 동으로 구성되었다. 면적은 0.99㎢ 이며, 인구는 2,816명(

  • 명란젓 / 明卵─ [생활/식생활]

    명태의 알을 소금에 절여 삭힌 젓갈. 명란을 먹기 시작한 것은 명태가 많이 잡히기 시작하면서부터라고 할 수 있다. 명태어업은 조선말의 어획고에 있어서 단연 수위를 차지하던 중요한 어업이었다. 명란젓이 문헌에 기록되기는 『오주연문장전산고』에서부터이고, 제조법은 1800년

  • 명령법 / 命令法 [언어/언어/문자]

    종결어미에 나타나는 서법(敍法) 혹은 문체법의 하나. 화자(話者)가 청자(聽者)에게 무엇을 시킬 때 그 원하는 행동을 말로 표현하는 서법이다. 이 서법의 가장 큰 특징은 다른 사람에 대한 행동의 요구를 나타낸다는 점이다. 따라서 본질상 그 요구를 들어줄 상대방을 향하여

  • 명사 / 名詞 [언어/언어/문자]

    격조사를 취하고, 그 관형어의 꾸밈을 받을 수 있는 단어들로서 주로 사물의 명칭을 나타내는 품사. 대체로 사물의 명칭과 개념을 나타내며, 대명사·수사와 함께 체언에 포함된다. 명사 또는 이름씨라는 말은 글자 그대로 사물을 가리키거나 부르는 의미기능을 지닌다. 이는 사물

페이지 / 471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