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전등록 / 傳燈錄 [종교·철학/유학]

    역대 부처와 조사들의 어록과 행적을 모은 책. ≪법화경≫·≪선문염송≫ 등과 함께 예로부터 불교전문강원의 최고과정인 수의과에서 학습되어 왔다. 송나라의 도원이 1006년에 저술했으며, 총 30권에 이른다. 과거칠불로부터 역대 선종의 조사들, 오가 52세에 이르기까지 법등

  • 전등사 / 傳燈寺 [종교·철학/불교]

    경기도 강화군 길상면 온수리에 있는 사찰. 381년 아도가 창건하였다. 처음에는 진종사라 하였으나, 1282년 고려 충렬왕의 비인 정화공주가 인기를 송나라로 보내어 대장경을 가져오게 하여 이절에 두도록 하고 옥등을 기증하여 전등사라 부르기 시작하였다. 1912년 조선

  • 전등신화 / 剪燈新話 [언론·출판]

    저자 구우(1347-1433). 목판본. 2권 2책. <전등신화>는 명 이후 여러 차례 간행되었는데 건륭 신해년(1791)에 '전등총화' 시리즈로 간행된 본 가운데 <전등신화> 부분이다. <전등신화>는 저자 구우의 <자서> 및 계형의 <전등신화시병서>에 근거해 인화훈도

  • 전라남도지 / 全羅南道誌 [언론·출판/출판]

    사부(史部) - 지리류(地理類) 나도우(羅燾佑) 편, 목활자본, 추원당, 1926, 9권 9책. 내용으로는 전라도 광주, 담양, 창평, 남평, 나주, 장흥, 강진, 구례, 낙안, 능주, 함평, 화순, 곡성, 옥과, 진도, 보성, 영암, 장성, 영광, 순천, 광양, 여수

  • 전라도 / 全羅道 [지리/자연지리]

    지명. 고려 성종조부터 전주(全州)·영순주(瀛淳州)·마주(馬州) 등 주현을 강남도(江南道), 나주(羅州)·광주(光州)·정주(靜州) 등 주현(州縣)을 해양도(海陽道)로 나누었던 것이 현종 9년에 전라도(全羅道)라고 합칭된 이래 조선왕조에 들어서도 그대로 습용된 것이다.

  • 전라도관원안 / 全羅道官員案 [정치·법제]

    조선 후기 전라도 지역 각 읍과 각 역, 각 진포 등 지방관의 명단안으로 절첩 형식. 특정 관직의 우측에 권점이나 비점이 찍혀 있다. 관직을 먼저 기록한 뒤 이어 성명, 부임 일자를 기록하였고, 계속해서 문, 무, 음으로 나누어 출신과 품계를 기록하였다. 전라도 지방관

  • 전라도암행어사봉서 / 全羅道暗行御史封書 [정치·법제]

    1798년(정조 22). 정조가 김이영을 전라도 암행어사로 보내면서 내려준 봉서. 초서로 작성되어 있다. 김이영이 암행할 지역은 당시 흉년이 극심한 임피, 옥구, 김제, 만경, 고부, 부안 등 6개 고을이다. 정조는 6개 고을 백성들의 고통과 수령들의 근만을 상탐하여

  • 전라선 / 全羅線 [지리/인문지리]

    전라북도 익산시 익산역과 전라남도 여수시 여수엑스포역 사이에 부설된 철도. 익산역에서 출발하여 호남지방의 내륙을 남북으로 관통하는 철도이며, 총연장 185.2㎞이다. 익산에서부터 시작, 만경강(萬頃江) 유역의 넓은 호남평야를 가로질러 전북 제일의 도시 전주를 지난 다음

  • 전라우도 / 全羅右道 [지리/인문지리]

    조선시대에 전라도지방의 행정구역을 동·서로 나누었던 때 전라도서부지역의 행정구역. 그 이전 전라도 지역은 고려때 전북지방을 강남도(江南道)로, 전남지방을 해양도(海洋道)라 하였다가 1018년(현종 9)에 이를 합하여 전라도라 하였다. 그 뒤 1407년(태종 7) 군사행

  • 전라좌도 / 全羅左道 [지리/인문지리]

    조선시대에 전라도지방의 행정구역을 동ㆍ서로 나누었던 때 전라도 동부지역의 행정구역. 전라도 지역은 1018년(현종 9)에 이를 합하여 전라도라 하였다. 그 뒤 1407년(태종 7) 군사 행정상의 편의를 위하여 전라도, 경상도를 좌ㆍ우도로 나누었는데, 이때 전라도는 동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