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작품 > 문학 작품 1,953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작품 > 문학 작품
  • 학이가 / 學而歌 [문학/고전시가]

    조선 중기에 주세붕(周世鵬)이 지은 시조. 작자가 편찬하고 1803년(순조 3)안시중(安時中)에 의하여 6권 3책으로 간행된 백운동서원지(白雲洞書院誌)인 『죽계지(竹溪誌)』의 초간본 제1권 행후록(行後錄)에 실려 전한다. 내용은 다음과 같다. “ᄇᆡ호고 닛디 마애 먼ᄃ

  • 학지가 / 學之歌 [문학/고전시가]

    개화기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계몽가사. 모두 247구. 경상북도 영천시 화북면 선천리에 있는 ‘학지촌’을 소재로 한 여류가사이다. 먼저 멀리 고대 중국으로부터 시작하여 역대 명인들과 각기 주거지의 상관관계를 열거하고, 이어서 우리 나라도 백두산으로부터 시작하여 경상도에

  • 한 근의 살 설화 / ─說話 [문학/구비문학]

    살을 베어내야 하는 위기에 처한 사람이 살을 베되 살만 벨 수 없는 조건을 지켜야 한다는 판결 덕분에 살아나게 되었다는 내용의 설화. 소화(笑話) 중 지략담(智略譚)에 속한다. 구전되는 자료를 찾기는 힘든 편이다. 이 설화는 북구권과 동구권에도 많이 분포되어 있고, 아

  • 한강현전 / 韓康賢傳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국문필사본. 1책. 가문소설(家門小說)의 한 유형에 속한다. 이 작품은 그 창작연대가 17세기 후반 이전으로 확인되는, 우리 소설사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 작품이다. 17세기 후반에서 18, 19세기에 걸쳐 사대부계층을 주 독자층으로 하여

  • 한거십팔곡 / 閑居十八曲 [문학/고전시가]

    조선 선조 때 권호문(權好文)이 지은 연시조. 모두 19수로, 그의 문집 『송암별집 松巖別集』에 수록되어 있다. 각 연은 독자적인 주제를 개별적으로 노래한 것이 아니라, 의미상의 맥락을 가지고 구조적으로 짜여 있어 시상과 주제의 전개 및 흐름을 체계적으로 파악할 수 있

  • 한글뒤풀이 / 한글뒤풀이 [문학/구비문학]

    한글의 자모 순서에 따라 말을 만들어가며 말놀이하는 동요. 어희요(語戱謠)의 하나이다. ㄱㄴㄷ 혹은 가갸거겨의 순서에 따라서 말을 꾸며나가고, 거침없이 외어나가는 데에 흥취를 느끼며 전승된다. 「이고사본춘향전(李古寫本春香傳)」·『신구잡가(新舊雜歌)』·「산대도감극(山臺都

  • 한당유사 / 漢唐遺事 [문학/고전산문]

    1852년(철종 3)에 박태석(朴泰錫)이 지은 한문장편소설. 「한당유사」는 이야기의 성격에 따라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전반부는 남한(南漢)에서 성명(聖明)이 혁명을 일으켜 천자가 되는 부분부터 청(靑)이 삼국을 통일하여 대당(大唐)을 세우는 부분까지로, 「

  • 한림별곡 / 翰林別曲 [문학/고전시가]

    고려 고종 때 한림의 여러 유자(儒者)들이 지은 경기체가. 가사의 형식을 보면 각 장은 앞 4구에 엽(葉) 2구가 붙은 6구형이고, 음수율은 제1·2구는 3·3·4, 제3구는 4·4·4(3·4장은 예외), 제5구는 4·4·4·4로 되어 있고, 제4구와 제6구는 『악장가

  • 한문연본춘향전 / 漢文演本春香傳 [문학/한문학]

    여규형(呂圭亨)이 각색한 「춘향전」. 1권 1책. 필사본. 기존 국문본 「춘향전」을 순한문으로 개작한 것이다. 형식면에서는 중국의 「서상기(西廂記)」를 모방한 연희본(演戱本)이다. 저자는 원각사의 공연을 위하여 지었다고 밝히고 있으나 실제 공연 여부는 분명하지 않다.

  • 한산도가 / 閑山島歌 [문학/고전시가]

    조선 선조 때 이순신(李舜臣)이 지은 시조. 1수. 진본(珍本) 『청구영언(靑丘永言)』을 비롯한 22종의 가집에 실려 있고,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에도 기록되어 있다. 이 시조의 한역가는 『이충무공전서(李忠武公全書)』 권1 및 『충무공가승(忠武公家乘)』에 전한다.

페이지 / 196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