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인물 총 3,881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인물
양창을 / 梁昌乙 [역사/근대사]
1900-1932.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 출신지는 평안북도 희천군(熙川郡) 북면(北面)이다. 1919년 3·1운동 이후 상해 임시 정부의 국내주재(國內駐在) 대원(隊員)으로서 천마대(天摩隊)에 가입하여 평안북도 위원(渭原) 일대에서 군자금 모금을 담당하였고, 또
양처제 / 梁處濟 [종교·철학/유학]
1643년(인조 21) 5월 14일∼1716년(숙종 42) 12월 5일. 조선 후기 유학자. 증조부는 양희, 조부는 양홍주, 아버지는 양원이다. 처부는 장선연이다. 박세채와 윤증을 사사하여 학문의 요지와 비결을 얻었다. 동몽교관으로 있으면서 임진왜란 때 선조를 호종하
양팽손 / 梁彭孫 [종교·철학/유학]
1488(성종 19)∼1545(인종 1). 조선 중기의 문신. 사위 증손, 할아버지는 담, 아버지는 이하, 어머니는 최혼의 딸이다. , 1516년 식년 문과에 갑과로 급제했으며, 또 현량과에 발탁되었다. 교리, 정언, 용담현령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는 ≪학포유집≫ 2
양한나 / 梁漢拿 [역사/근대사]
1893-1976. 독립운동가·사회사업가. 부산의 기독교 가문에서 태어나 상경하여 진명학교에 입학하였다. 그러나 학비조달의 어려움으로 부산으로 돌아가 1911년 일신여학교(日新女學校)제1회졸업생이 되었다. 마산 의신여학교(義信女學校)에서 7년간 교사로 근무하였으며,
양한묵 / 梁漢默 [역사/근대사]
항일기의 독립운동가(1862-1919). 1902년 동학에 입교하고, 손병희 등과 함께 이용구로 하여금 진보회를 결성하게 했다. 1905년 귀국하여 헌정연구회를 조직했다. 1919년 2월 27일 김상규의 집에서 천도교 대표로서 독립선언서에 서명했다. 3월 1일 오후
양한위 / 梁漢緯 [역사/근대사]
1883-1949. 독립운동가. 충청북도 옥천 출생. 1910년 8월 나라를 잃게 되자 만주로 망명하였다. 그곳에서 독립운동에 뜻을 둔 맹보순(孟甫淳)·양기탁(梁起鐸)·이병옥(李秉玉) 등 10여명과 수시로 회합, 협의하면서 독립운동의 기본방략을 수립하고 그 기반 조성을
양희지 / 楊熙止 [종교·철학/유학]
1439(세종 21)∼1504(연산군 10). 조선 중기의 문신. 할아버지는 미, 아버지는 맹순, 어머니는 정시교의 딸이다. 1474년(성종 5) 식년 문과에 병과로 급제, 검열, 부수찬, 경연관, 교리, 예조좌랑, 병조좌랑, 상의원정, 직제학, 좌부승지, 대사간, 충
어무적 / 魚無迹 [문학/한문학]
조선시대 「유민탄」, 「신력탄」 등을 저술한 시인. 할아버지는 생원(生員) 어변문(魚變文)이며, 아버지는 사직(司直) 어효량(魚孝良)이다. 성종·연산군 때에 벼슬이 높았던 어세겸(魚世謙)과 어세공(魚世恭)과는 재종형제(再從兄弟) 사이다. 어머니가 관비임에도 불구하고 아
어변갑 / 魚變甲 [종교·철학/유학]
1381(우왕 7)∼1435(세종 17). 조선 전기의 문신. 득룡의 증손, 할아버지는 백유, 아버지는 연, 어머니는 이운길의 딸이다. 1399년(정종 1)에 생원이 되고, 1408년(태종 8) 식년문과에 장원한 뒤 응교, 지제교, 경연검토관, 집현전직제학 등을 역임하
어세겸 / 魚世謙 [종교·철학/유학]
1430(세종 12)∼1500(연산군 6). 조선 중기의 문신. 연의 증손, 할아버지는 변갑이다. 아버지는 효첨, 어머니는 박은의 딸이다. 세공의 형이다. 1456년(세조 2)에 동생 세공과 동방으로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우승지, 공조판서, 병조판서, 좌찬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