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총 10,287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권효가 / 勸孝歌 [문학/고전시가]
작자·연대 미상의 규방가사. 필사본. 2음보 1구로 계산하여 모두 108구이다. 부녀자들에게 효도를 권장하는 내용의 작품으로, 만물 중에 사람이 으뜸인 것은 삼강오륜이 있기 때문이며, 그 가운데 효가 백행의 근본임을 노래하고, 특히 부모의 마음을 즐겁게 하는 ‘양지효
궤 / 簋 [정치·법제]
국가 제례 때 메기장[黍]과 찰기장[稷]을 담는 둥근 모양의 제기. 궤는 구리로 주조하여 만든 둥근 모양의 제기이다. 궤는 보와 짝을 이루는 데 보가 사각형 모양인 반면 궤는 원형 모양이다. 보에는 쌀과 기장쌀을 담으며, 궤에는 메기장과 찰기장을 담는다. 보와 궤 모
귀계유고 / 歸溪遺稿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문신 김좌명의 시·소차·계사·서(書) 등을 수록한 시문집. 2권 2책. 활자본. 간행 경위 및 연대는 알 수 없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권상은 표제가 ‘부귀계유고(附歸溪遺稿)’로 되어 있고, 시 56수, 소차(疏箚) 28편, 서(書)·계(啓)·계사(啓辭) 7편
귀락와집 / 歸樂窩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문신·학자 유광천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5년에 간행한 시문집. 1935년 유광천의 5세손 유영희(柳永禧)가 연보를 작성하고, 6세손인 유병구(柳秉九)와 유병희(柳秉熙)가 편집·간행하였다. 서문은 없고 권말에 유병구와 유병희의 발문이 있다. 16권 8책.
귀록집 / 歸鹿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문신·학자 조현명의 시·소·차 ·서(書) 등을 수록한 시문집. 20권 20책. 필사본. 1750년(영조 26)에 저자 자신이 편집하여 필사하게 하였다. 서문과 발문은 없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권1∼4에 부(賦) 1편, 시 1,611수, 권5∼12에 소 232
귀산곡 / 歸山曲 [문학/고전시가]
조선 후기에 침굉(枕肱, 懸辯)이 지은 불교가사. 작품은 2음보 1행으로 헤아려 88행이며, 국한문혼용체이다. 이른바 「침굉가사(枕肱歌辭)」 3편 가운데 하나이다. 작자의 문집인 『침굉집』에 실려 있다. 내용은 세간의 명성이나 영화가 모두 허사이니 승복 한 벌과 표주박
귀암집 / 歸岩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문신·학자 이원정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7년에 간행한 시문집. 10권 5책의 목활자본과 12권 6책의 목판본 2종이 있다. 목활자본의 간년(刊年)은 미상이고, 목판본은 1937년 후손들이 목활자본에 누락된 유문(遺文)을 더 수집하여 간행하였다. 목활자본에
귀원유집 / 歸園遺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문신·학자 황기원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8년에 간행한 시문집. 4권 2책. 석판본. 1938년 손자 정현(庭顯)이 족제인 시현(時顯)·용현(龍顯) 등과 함께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송증헌(宋曾憲)의 서문과 세계(世系)가 있고, 권말에 정현과 족손인 갑
귀은당집 / 歸恩堂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문신 남공철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34년에 간행한 시문집. 10권 5책. 활자본. 1834년(순조 34) 저자가 편집, 간행하였다. 권수에 저자의 자서(自序)·후소서(後小敍)가 있고, 이어 총목록이 있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권1에 시 165수, 권2에 응
귀은문집 / 歸隱文集 [종교·철학/유학]
조선전기 학자 오계종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14년에 간행한 시문집. 2권 1책. 목활자본. 1914년 후손 병묵(炳默)·연보(然輔)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장석신(張錫藎)·기우만(奇宇萬)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송호곤(宋鎬坤) 등 세 사람의 발문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