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장례원 / 掌隷院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공사노비 문서의 관리 및 노비소송을 관장하였던 관서. 고려 말부터 여러 차례 노비변정도감이 설치되었다. 1401년(태종 1)에는 노비변정도감을 혁파하고 형조도관을 설치, 1466년(세조 12) 변정원으로 개칭하였다. 이듬 해 8만여 명의 공노비를 관장한다는

  • 장로 / 長老 [종교·철학/개신교]

    개신교 교회조직의 일종. 목사를 도와 교회치리를 담당하는 평신도를 말한다. 한국개신교에서는 장로교만이 해방 전부터 이 직제를 사용, 다른 교파들은 해방이후에 이 직제를 사용하였다. 장로는 교회의 택함을 받고 치리회원이 되어 목사와 협력하여 교회행정을 담당할 뿐 아니라

  • 장로교 / 長老敎 [종교·철학/개신교]

    개신교 교파의 일종. 장로들에 의한 정치를 통해 가시적인 통일성을 실현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교회정치유형은 회중제도와 감독제도의 중간에 해당한다. 칼빈주의를 모체로 하는 개혁교회의 한 지파이다. 장로교는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와 교리문답을 신앙의 표준으로 삼고,

  • 장로회보 / 長老會報 [언론·출판/언론·방송]

    장로회 총회사무국이 1940년 1월 24일에 국한문과 일본문을 혼용하여 9단으로 편집한 주간지. 내용으로는 권두언, 설교, 논설, 종교교육, 시국물, 공문, 교계뉴스, 전기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 장릉배알전교 / 長陵拜謁傳敎 [정치·법제]

    1797년(정조 21) 8월 15일. 정조가 장릉에 배알하고, 원종의 국구인 능안부원군 구사맹과 서원부부인과 관련된 후손, 능수호인, 주변 백성, 명세 등을 지시한 전교. 내용은 정조가 1734년(영조 10)에 영조와 함께 장릉을 행행하고 돌아오는 길에 인근의 백성에게

  • 장만 / 張晩 [종교·철학/유학]

    1566(명종 21)∼1629(인조 7). 조선 후기의 문신. 철견의 증손, 할아버지는 계문, 아버지는 기정, 어머니는 조광침의 딸이다. 1589년(선조 22) 생원·진사 합격, 1591년 별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 성균관·승문원의 벼슬을 거쳐 예문관검열이 되었다.

  • 장만걸 / 張萬杰 [종교·철학/유학]

    1654년(효종 5)∼1717년(숙종 43). 조선 후기 유학자. 장말손의 후손, 부친은 장윤병이다. 장신, 장진에게 가학으로 배웠으며, 자라서는 나은 이동표·나암 이유장을 사사하였다. 주로 예학에 몰두하여《가례익해》·《의례문답》·《비요집람》를 저술하였다. 문집으로《

  • 장말손 / 張末孫 [종교·철학/유학]

    1431(세종 13)∼1486(성종 17). 조선 전기의 문신. 순효의 증손, 할아버지는 경원, 아버지는 안량, 어머니는 고승안의 딸이다. 1459년(세조 5)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 1463년 승문원박사를 거쳐 한성참군·사헌부감찰·함길도평사를 역임하였다. 1467

  • 장면 / 張勉 [정치·법제/정치]

    현대의 정치가(1899∼1966). 1917년 수원고등농림학교를 졸업, 1919년 서울기독교청년회관 영어학과를 수석으로 졸업하였다. 1936년 동성상업학교 교장이 되었다. 1946년 정계에 입문, 1955년 신익희·조병옥 등과 민주당을 창당하여 최고위원이 되었다.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