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장경도감 / 藏經都監 [종교·철학/불교]

    고려시대에 대장경을 판각하기 위해 설치되었던 관공서. 고려 선종 때 의천(義天)이 속장경을 간행하기 위하여 만들었던 교장도감(敎藏都監)과 고려 고종 때 재조 대장경의 완간을 위하여 설치한 대장도감(大藏都監) 등이 이에 속한다. 대장도감은 고려의 수도를 강화로 이전한

  • 장경례 / 張慶禮 [역사/근대사]

    1913-1997.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 본적은 전라남도 광주군(光州郡) 광주면(光州面: 현 광주광역시)이다. 1928년 11월 광주여자고등보통학교에 재학 중 동학이던 박옥련(朴玉連)·남협협(南俠俠)·장매성(張梅性)·고순례(高順禮)·이금자(李錦子)·박채희(朴采姬)

  • 장경범 / 張慶範 [역사/근대사]

    1898-1972.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 본적은 황해북도 개성(開城) 상도면(上道面)이다. 1919년 3월 29일 개성(開城) 상도면 상도리(上道里)·대성면(大聖面) 풍덕리(豊德里)에서 일어난 독립만세운동을 이기춘(李起春)·신선명(申善明) 등과 함께 주도하여 약

  • 장경세 / 張經世 [문학/한문학]

    조선시대 「정부사」, 「상사곡」, 『사촌집』 등을 저술한 문인. 아버지는 정랑 장건(張健)이며, 어머니는 양공건(楊公健)의 딸이다. 종부(從父)인 장급(張伋)에게 입양됐다. 재질이 총명하여 5, 6세에 벌써 글을 해독할 줄 알았다고 전한다. 특별한 스승이 없이 가정의

  • 장경전 / 張景傳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권 1책. 한글 목판본·필사본·활자본. 이 작품은 영웅의 일대기를 기술한 영웅소설의 보편적 구조를 갖추고 있다. 부처에 기도하여 자식을 얻는 것과, 태몽을 통한 장경의 출세 예고는 그의 비범성에 대한 복선(伏線)이다. 이 복선의 기능은 관

  • 장경탁 / 張炅鐸 [역사/근대사]

    1923-1945. 독립운동가. 경상북도 경주 출신. 1939년 조국의 광복을 위하여 목숨을 바치기로 결심한 뒤 중국 북간도 용정(龍井)일대에 이주, 16세의 소년으로 항일운동에 참가하였다. 1942년 국내에서 민족운동을 전개하기로 한 뒤 귀국하여 함경북도경흥군 아오지

  • 장계 / 長溪 [지리/인문지리]

    전라북도 장수지역의 옛 지명. 본래 백제의 백해군(伯海郡, 또는 伯伊郡)이었는데 757년(경덕왕 16)에 벽계군(壁溪郡)으로 고치어 고택현(高澤縣)과 진안현(鎭安縣)을 영현으로 삼고 전주 관할하에 두었다. 940년(태조 23)에 장계(長溪, 또는 長世)로 고치었고, 1

  • 장고도 / 長古島 [지리/자연지리]

    충청남도 보령시 오천면 삽시도리에 있는 섬. 동경 126°21′, 북위 36°24′에 위치한다. 오천면 해안에서 서쪽으로 17.4㎞, 삽시도에서 북쪽으로 3.8㎞ 지점에 있다. 면적은 1.57㎢이고, 해안선 길이는 8.6㎞이다. 태안해안국립공원으로 지정되어 있다. 20

  • 장고도사건 / 長古島事件 [역사/근대사]

    1900년 일본정부가 홍주 장고도(長古島, 杖鼓島)에 난파한 일본배를 조선인이 파손하였다며 조선정부에 손해배상을 청구한 사건. 1900년 일본 풍범선(風帆船) 히노데마루가 장고도에 좌초, 난파하였다. 이 때 섬에 거주하는 조선인들이 부서져 흩어진 선판 몇 조각을 습득한

  • 장곡 / 長谷 [지리/인문지리]

    함경남도 정평지역의 옛 지명. 본래 고려의 장주(長州, 또는 椵林ㆍ端谷)였는데, 현종 때 성을 쌓고 방어사(防禦使)를 두어 동계(東界)에 예속시켰다. 한때 원나라의 영토가 되었으나 환조(桓祖)가 이곳을 수복하자 공민왕이 장곡현(長谷縣)을 설치하였으며 세종 때 정평도호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