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잡직서 / 雜織署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직조와 시침을 관장하던 관서. 소부감(小府監)의 속사 중 하나이다. ≪고려사≫ 백관지에는 문종 때 관원으로 영(令) 2인, 승(丞) 2인과 사(史) 4인, 기관(記官) 2인의 이속을 두었다. 본래는 소부감의 관부명칭이 채용된 고려 초기에 등장하였을 것이나,

  • 잡체시 / 雜體詩 [문학/한문학]

    정체(正體) 한시에 대(對)가 되는 변체(變體)의 한시. 유희적 창작의 성향이 강하다. 수십 종의 다양한 형식이 있다. 잡체시는 중국 육조(六朝)시대에 성행하였다., 당송(唐宋)대에 이르러 다양한 형식들이 새로 만들어졌다. 명(明)나라 서사증(徐師曾)의 『문체명변(文體

  • 잡초 / 雜草 [생활]

    총집류(總集類). 명석정에 소장되어 있는 책이다. 책수는 1책, 판종은 필사본(筆寫本)이다. 규격은 24.3×16.3cm이다. 여러 제문(祭文) 등 잡문(雜文)을 초(抄)한 책이다.

  • 잡흥 / 雜興 [문학/한문학]

    고려 중기에 최유청(崔惟淸)이 지은 한시. 오언고시 9수로 『동문선』 권4에 실려 있다. 「잡흥」은 작자가 양주(楊州)에 있을 때에 지은 작품이다. 전원의 한가로움과 그곳에서 소요하는 심경을 읊고 있다. 「잡흥」의 처음은 봄의 정경을 묘사하며 인생은 홀연히 바람 앞에

  • 장가 / 長歌 [문학/고전시가]

    일반적으로 짧은 형식의 노래인 단가의 개념에 대립되는 긴 형식의 노래. 장가라는 용어는 신라시대부터 고려를 거쳐 조선시대에 이르기까지 두루 보이며, 각 시대마다 그 속성과 원리를 달리하므로, 고려의 속요나 조선의 가사만을 장가라 칭하는 것은 별 의미를 갖지 못한다.

  • 장감박의 / 將鑑博議 [언론·출판/출판]

    중국 전국시대의 손무(孫武)로부터 오대의 곽숭도(郭崇韜)에 이르기까지 역대 명장에 대하여 재품의 고하, 기량의 대소, 지계의 장단을 논한 책. 송대계가 지었으며 모두 10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 장강군 / 長江郡 [지리/인문지리]

    자강도(慈江道)의 중북부에 있는 군. 장강군은 동쪽으로 화평군·랑림군, 서쪽으로 강계시·시중군, 남쪽으로 성간군, 북쪽으로 만포시·자성군과 접해 있다. 동경 126°31′∼126°56′, 북위 40°54′∼41°14′ 사이에 위치하며, 면적 727.1㎢, 인구는 5만

  • 장개석 / 蔣介石 [정치·법제/정치]

    1887-1975. 중국의 정치가. 1906년 보정군관학교에 입학했다가 다음해 일본에 유학했다. 1911년 신해혁명에 참가, 군사분야에서 활동했다. 1924년 황포군관학교교장, 1926년 국민혁명군 총사령에 취임, 북벌을 시작했다. 1927년 국공합작을 깨고 상해 쿠

  • 장건 / 張謇 [정치·법제/외교]

    1853-1926. 임오군란 이후 조선지배 강경파. 청말 입헌파의 거두. 1882년 조선에서 임오군란이 발생하자 일본이 파병하였다. 장건은 경군을 따라 조선 한성에 와서 조선 국왕과 협조하여 군변을 처리하였다. 오장경을 대신하여 <조진조선사의소>를 기초하였고, <임오동

  • 장건상 / 張建相 [역사/근대사]

    1883-1974. 항일기의 독립운동가·정치가. 호는 소해(宵海). 중국에 망명하여 독립운동을 했는데, 상해 임시정부의 외무차장과 학무부장 등을 역임했다. 광복 후 여운형 계의 조선인민당, 근로인민당의 부위원장을 지냈고, 5·16 이후 혁신당 사건으로 검거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