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잘뽑은조선말과글의본 [언어/언어/문자]
강매(姜邁)와 김진호(金鎭浩)가 공편한 국어문법서. 1925년 한성도서주식회사(漢城圖書株式會社)에서 간행하였다. 구성은 음운론에 해당되는 소리, 소리의 갈래, 소리의 바꾸임, 품사론에 해당되는 이름말(명사)·꼴말(형용사)·움즉임말(동사)·꾸밈말(부사)·도음말(조사·어미
잠 / 箴 [문학/한문학]
한문 문체의 하나. 경계하는 뜻을 서술한 글이다. 잠의 체는 보통 4언 운어(韻語)로 짓는다. 고금의 흥망과 치란의 변을 반복하여 경계하여 교훈을 드리우는 것으로 일관한다. 그렇기 때문에 보는 이로 하여금 척연(惕然)하여 안일한 자세를 버리고 근엄한 정신을 가지게 하
잠곡서원 / 潛谷書院 [교육/교육]
경기도 가평군 청평면 청평리 잠곡동에 있던 서원. 1705년(숙종 31)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김육(金堉)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707년에 ‘잠곡(潛谷)’이라고 사액되어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 왔다. 1870년(고종 7)
잠방이 [생활/의생활]
가랑이가 무릎까지 내려오게 지은 짧은 홑고의. 한자어로는 곤의(褌衣)로 일컬어지며, 사발잠방이·사발고의·사발석방이·쇠코잠방이 등이 모두 이에 속한다. 우리 나라 상고시대의 고유복식 기본형 가운데에는 바지에 해당한 것으로 고(袴)와 곤(褌)이 있었다. 당시 고에는 대구고
잠상태 / 岑上苔 [문학/한문학]
이해조(李海朝)가 지은 한문소설. 1906년 11월부터 1907년 4월까지 『소년한반도(少年韓半嶋)』에 연재된 미완의 한문현토소설(漢文懸吐小說)로 작자의 처녀작이다. 이 작품은 기본적으로 궁녀와의 염정을 그린 작자 미상의 고전 한문소설 「영영전(英英傳)」을 바탕으로
잠수교 / 潛水橋 [지리/인문지리]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동과 서초구 반포동을 연결하는 2층 교량인 반포대교의 아래층 교량. 너비 18.0m, 길이 795.0m이다. 1979년 준공되었다. 처음에는 수평식으로 바지(barge)가 다닐 수 있게 승개장치(昇開裝置)를 하여 건설되었다가 한강종합개발과 더불어
잠실대교 / 蠶室大橋 [지리/인문지리]
서울특별시 광진구 자양동과 송파구 신천동을 잇는 너비 25m(6차선), 길이 1,280m의 장대교량. 공사비 20억 1,300만원을 투입하여 1970년 10월에 착공, 1972년 7월 준공과 동시에 개통되었다. 다리의 상부는 3경간 연속 강판형이고, 하부는 구주식(驅柱
잠실도 / 蠶室島 [지리/자연지리]
서울특별시 송파구 잠실지역에 있었던 하중도. 원래 한강의 범람원으로 발달하였던 부리도(浮里島)였으며, 조선시대 궁중에서 양잠을 장려하여 이곳에 뽕밭을 조성하고 잠실(蠶室)을 두었다. 신천리와 잠실리가 있었던 관계로 잠실도라 부르는 경우가 많다. 토지정리사업에 따라 남쪽
잠포온천 / 潛浦溫泉 [지리/인문지리]
함경북도 어랑군 칠향리에 있는 온천. 어랑군은 동서로 길쭉한 형태이다. 함경산줄기가 서쪽 경계를 형성해 서고동저의 지형적 배치를 이루고 있다. 주남천(朱南川)과 어랑천(漁郞川)이 동으로 흐르고 있다. 온천은 어랑천 유역의 칠향리에 위치해 있다. 온천 배후에는 가파른 산
잡가 / 雜歌 [언론·출판]
편자미상. 필사본. <잡가>는 가사집이다. 책의 구성은 1책 56장 이다. 목차는 고공가, 답가, 지로가, 관동별곡, 관서별곡, 성산별곡, 면앙정가, 목동가, 답가, 낙빈가, 귀전가, 어부사, 장진주사, 권주가, 맹상군가, 은사가, 처사가, 용저가, 호남곡, 팔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