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작법 / 作法 [예술·체육/무용]

    불교의식에서 재를 올릴 때 추는 춤을 통칭하는 불교용어. 영산재 중에 진행되는 식당작법(食堂作法)을 줄여서 작법이라고도 한다. 불교의식 중 의례는 예불(禮佛)에서부터 불공시식(佛供施食), 재의(齋儀)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며, 이러한 독경의식과 재의식에서 행해지는 것이 범

  • 작법귀감 / 作法龜鑑 [언론·출판/출판]

    자부(子部) - 석가류(釋家類) 석 긍선(釋 亘璇) 편, 목판본, 1827년(순조 27), 2권 1책. 구성은 목록, 서, 범례, 권상-하이다. 선승 긍선(亘璇)이 당시 불가의 의례들을 보수한 불교 의례서이다. 국한문혼용본이다.

  • 작선 / 雀扇 [정치·법제]

    노부 의장 및 정재 의장에 사용되는 기구. 작선은 용선, 봉선 등과 함께 노부 의장의 가장 끝부분에 배치되는 의장이다. 국왕에서 세손에 이르기까지 모두 사용하는 의장이지만 국왕이 용선, 봉선, 작선을 모두 사용하는데 비해, 왕비는 봉선과 작선만을, 세자와 세자빈, 세

  • 작약도 / 芍藥島 [지리/자연지리]

    인천광역시 동구 만석동에 속하는 섬. 작약도는 만석동 해안에서 동북쪽으로 4.8㎞ 지점에 있으며 서쪽으로는 영종도(永宗島)와 이웃하고 있다. 동경 126°35′, 북위 37°30′에 위치하며, 면적 0.072㎢, 해안선길이 1.2㎞이다. 겨울철에는 이곳에 사람이 거주하

  • 작제건설화 / 作帝建說話 [문학/구비문학]

    고려 태조 왕건(王建)의 할아버지 작제건에 관한 설화. 작제건을 신성시하려는 의도로 구성한 설화이다. 왕건의 세계(世系)로 보면, 부계(父系)로서 확실한 조선(祖先)은 작제건이며 그 이전은 불분명한 상태이다. 「작제건설화」는 작제건의 탄생에 관련된 매몽(買夢) 관계와

  • 작치설 / 鵲鴟說 [문학/한문학]

    조선 순조 때 김매순(金邁淳)이 지은 글. 작자의 문집 『대산집(臺山集)』 권9 잡저에 수록되어 있다. 작치(鵲鴟)란 까치와 올빼미인데, 이 두 새의 상이한 성격을 보여주면서 재미있게 이야기를 전개해나가고 있다. 작품 말미에 작가는 “까치는 참으로 신령스러운 새로다.

  • 작헌례 / 酌獻禮 [사회/가족]

    왕이나 왕비의 조상이나 문묘에 모신 공자의 신위에 왕이 직접 예로써 제사지내던 제도. 조선시대 왕이 친히 작헌례를 행하는 곳은 영희전과 문묘밖에 없었다. 영희전은 종묘의 남별전을 고친 이름으로 조선의 태조·세조·원종·숙종·영조·순조 등 직계로 이어지지 아니하고 방계로

  • 잔당오대연의 / 殘唐五代演義 [문학/고전산문]

    명나라의 역사소설 『잔당오대사연의전(殘唐五代史演義傳)』의 번역본. 한글필사본. 필사자 미상. 명대 역사소설 『잔당오대사연의전』(60회)을 번역한 책이다. “잔당오대(五代殘唐)” 또는 “잔당오대사연의(殘唐五代史演義)”라고도 한다. 작자는 나관중(羅貫中)이라고 하나 확실하

  • 잔무늬거울 [역사/선사시대사]

    뒷면의 장식이 세모, 네모꼴, 둥근 무늬 등의 가는 선으로 이루어진 청동기시대 후기 또는 초기 철기시대의 청동제 거울. 다뉴세문경(多鈕細文鏡)이라고도 한다. 거울면이 약간 오목하며 뒷면에는 기하학적인 무늬가 새겨져 있고 주연(周緣)에는 단면 반원형의 테두리가 돌고 있다

  • 잘못 쓴 명당 / ─明堂 [문학/구비문학]

    명당을 얻었으나 잘못으로 발복(發福)을 얻지 못하거나 명당을 잃게 된다는 내용의 설화. 명당을 얻었으나 수용 과정에서의 잘못으로 발복을 얻지 못하거나, 수용자의 악덕에 대한 응징과 보복으로 이미 발복한 명당의 혈을 끊게 되어 명당을 잃어버리는 등 결과적으로 명당발복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