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종교·철학 > 유학 총 3,57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종교·철학 > 유학
서문중 / 徐文重 [종교·철학/유학]
1634(인조 12)∼1709(숙종 35). 조선 후기의 문신. 성 증손, 할아버지는 경주, 아버지는 정리이다. 어머니는 이시발의 딸이다. 당숙인 함경도관찰사 원리에게 입양되었다. 1673년(현종 14) 학행으로 천거되어 동몽교관에 임명되었다. 청도군수, 이천부사,
서사원 / 徐思遠 [종교·철학/유학]
1550(명종 5)∼1615(광해군 7). 조선 중기의 학자. 필의 증손, 할아버지는 응기, 아버지는 흡, 큰아버지 형에게 입양되었다. 정구의 문인이다. 주자학 및 이황의 문집을 깊이 연구하고 중년 이후는 후진을 가르쳤다. 선조 때 학행으로 감역·찰방을 지내고, 159
서상우 / 徐相雨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831∼1903). 종사관으로서 미국·영국과의 수호통상조약체결 때 참여하였다. 갑신정변 직후 전권대신으로 일본과 개화파 인사의 송환을 협상하였으나 실패하였다. 한·러밀약설의 진상 규명을 위해 텐진을 방문했고, 영국군의 거문도 점령 철수를 요청하였다
서석집 / 瑞石集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김만기의 시문집. 18권 9책. 활자본. 1701년(숙종 27) 손자 춘택에 의해 수집, 간행되었다. 권1∼4에 시 569수, 권5에 서·기·제후·제문·송·잠 28편, 권6에 전·비답·교서·별유·상량문·애책문·고제문·치제문·책문·서계 33편, 권
서성구 / 徐聖耉 [종교·철학/유학]
1663(현종 4)∼1735(영조 11). 조선 후기의 학자·서예가. 아버지는 숙이다. 1691년(숙종 17) 진사시에 합격하였다. 어려서부터 대자를 써서 이름이 났고 혼자서 학문에 힘써 크게 경지에 이르렀으며, 특히 초서에 능하여 일세에 독보적인 존재가 되었다. 저서
서승보 / 徐承輔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814∼1877). 1856년(철종 7) 별시 문과에 급제하여 충청우도암행어사·승지를 차례로 지냈다. 1864년(고종 1) 이조참의 이후 예조참판·예문관제학·홍문관제학·이조참판·한성부판윤·형조판서에 이르는 등 내외직을 역임하였으며, 글씨에 능하였다
서식 / 徐湜 [종교·철학/유학]
1561(명종 16)∼1644(인조22). 조선 중기의 지사. 아버지는 봉사 충립이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병장 김천일·고경명과 함께 의병을 일으켰으나 병으로 물러났다. 1597년 정유재란이 일어나자 고향 사림들의 추천으로 다시 의병장이 되어
서신보 / 徐臣輔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831∼1908). 1855년(철종 6) 정시 별시 문과에 급제하였다. 1861년 성균관대사성에 이르렀다. 1865년(고종 2) 이조참의를 거쳐 승지를 지낸 이후, 이조참판·사헌부대사헌·중추원1등의관·장례원경·궁내부특진관 등을 지냈다.
서신일 / 徐神逸 [종교·철학/유학]
생몰년 미상. 신라 말 고려 초의 호족. 이천 서씨의 시조. 아들로는 광종때 내의령을 지낸 필이 있다. 꿈에 신인이 나타나 감사해하면서 “사슴은 내 아들인데 공에게 힘입어 죽지 않았으니 공의 자손으로 하여금 대대로 재상이 되게 하리다.”라고 말하였다는 일화가 있다. 그
서영보 / 徐榮輔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1759∼1816). 1789년(정조 13) 식년 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하여 이조판서·대제학 등을 역임했다. 1790년에는 성절 겸 사은사의 서장관으로 청나라에 다녀왔다. 1808년 심상규와 함께《만기요람》을 편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