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자산향교 / 慈山鄕校 [교육/교육]
평안남도 순천군(현재의 평성시) 자산면 용연리에 있는 향교. 조선 초기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당시의 경내 건물로는 문묘(文廟)를 비롯하여 대성전·명륜당·동재(東齋)·서재(西齋)·전사청(典祀廳)·신문(神門)·홍
자상특사황국옥당가 / 自上特賜黃菊玉堂歌 [문학/고전시가]
조선조 명종 때 송순(宋純)이 지은 시조. 정철(鄭澈)의 가사와 단가를 모은 『송강가사(松江歌辭)』 성주본(星州本)에는 정철의 작품으로 실려 있으나 송순의 작품임이 확실하다. 송순의 문집인 『면앙집(俛仰集)』 권4 잡저편(雜著篇)에 한역가가 실려 있고, 『진본 청구영언
자섬사 / 資贍司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화폐를 관장하던 관서. 1308년(충렬왕 34) 충선왕이 정권을 잡고 제용사(濟用司)를 설치하여 정5품의 지사(知事) 2인, 정5품의 사(使) 4인, 정6품의 부사(副使) 2인, 정7품의 승(丞) 2인을 두더니, 1310년(충선왕 2)에 자섬사로 고쳐 지사를
자섬저화고 / 資贍楮貨庫 [과학기술/과학기술]
고려시대에 저화의 인조를 담당하던 관청. 1391년 3월 중랑장 방사량은 그가 올린 시무11조에서 추포 사용을 금지하고, 주화의 주조유통문제와 함께 저화를 만들어 사용할 것을 제의. 뒤이어 그 해 7월 도평의사사는 홍복도감을 폐지하고 자섬저화고를 설치하였다. 자섬저화고
자성강 / 慈城江 [지리/자연지리]
평안북도 자성군 칠평면의 사랑봉(舍廊峯, 1,787m)과 가릉령(加陵嶺, 1,441m)에서 발원하여 자성군을 북류한 뒤 압록강으로 흘러드는 강. 길이 104㎞.주요 지류로는 조례천(造禮川)·대회동천(大會洞川)·소회동천(小會洞川)·운동강(雲洞江) 등이 있다. 평북고원지대
자성군 / 慈城郡 [지리/인문지리]
평안북도 최북단 압록강 상류의 남부에 위치한 군. 동남쪽은 후창군, 남서쪽은 강계군, 북서쪽과 북동쪽은 압록강을 경계로 하여 만주의 임강현(臨江縣)과 접하고 있다. 동경 126°29′∼ 127°01′, 북위 41°14′∼ 41°48′에 위치하고 있으며, 면적 1,806
자성전투 / 慈城戰鬪 [역사/근대사]
1919년 10월 홍범도 지휘하의 대한독립군이 평안북도의 자성군으로 진출하여 일본군과 벌인 전투. 자성군에서 대한독립군은 일본군 대부대의 공격을 받았으나 홍범도사령관의 과감한 지휘를 받아가며 분전한 결과, 3일동안 적군 70여명을 살상하였다. 이같은 승리의 소식은 국내
자손보전 / 子孫寶傳 [언어/언어/문자]
신창 맹씨가 여인이 쓴 한글 문서 34편을 모아 배접한 필첩. 맹지대(孟至大, 1730~1793)의 고조할머니 해주 최씨(1591~1660)로부터 맹흠구(孟欽耈, 1805~?)의 아내 거창 신씨(1801~1848)에 이르는 7대에 걸쳐 맹씨가 내외(內外) 여인의 한글
자수대학강의 / 自修大學講義 [종교·철학/천도교]
한국 최초로 실시된 통신대학강좌 또는 그 강의록. 1933년 4월 천도교청년당의 주관으로 시작되었다. 자수대학강의는 종교, 철학, 정치, 경제, 사회, 예술, 체육 등 7개 학과목에 걸쳐 총 533면에 달하는 종합강좌로 3년 동안 이수하는 과정으로 개설되었고, 그 강의
자신책가 / 自身嘖歌 [문학/고전시가]
1912년김낙호(金樂浩)가 지은 천주가사. 한글 필사본. 총 344구. 4·4조가 주조를 이룬다. 「자신책가」는 지은이가 50세가 되어 자신의 신앙생활을 성찰하며 자기자신을 꾸짖는 노래이다. 임자년(1912) 12월 긴긴 밤에 누워 잠잠히 자신의 신앙생활을 반성해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