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입납 / 入納 [문학]
조선시대 한글편지 투식어. 삼가 편지를 드린다는 뜻으로 봉투에 쓰는 말. 보통 '행차 입납' 또는 '행차소 입납'이라 하여 아들이 집 떠난 아버지에게 하는 편지의 투식어로 되어 있다.
입안 / 立案 [정치·법제/법제·행정]
개인의 청원에 따라 어떤 사실(매매·양도·결송·입후 등)을 관에서 확인하고 이를 인증해 주기 위해 발급하는 문서. 예를 들면 토지·가옥·노비나 그밖에 재산의 매매·양도 등의 사유가 발생하였을 때에 취득자가 관에 입안을 신청하면 관에서는 재주와 증인·필집 또는 관계인
입암가 / 立巖歌 [문학/고전시가]
조선 중기에 박인로(朴仁老)가 지은 단가. 모두 29수로, 작자의 문집인 『노계집(蘆溪集)』 권2에 22수가 실려 있고, 7수는 사본(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죽장면 매현리박인로 종손가 소장)으로 전한다. 이 작품은 작자의 만년인 1640년경에 지은 듯하다. 각 경관을 한
입암산 / 立巖山 [지리/자연지리]
황해도 곡산군 동촌면과 강원도 이천군 산내면에 걸쳐 있는 산. 높이 1,107m. 곡산읍에서 동쪽으로 약 10㎞ 지점에 위치한다. 마식령산맥 중의 고산의 하나로 북동쪽의 화개산(華開山, 1,041m)·고달산(高達山, 866m)·용야산(龍野山, 1,040m)등과 함께 일
입암서원 / 立巖書院 [종교·철학/유학]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죽장면 입암리에 있는 서원. 1657년(효종 8)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장현광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713년(숙종 29) 정사진을 추가배양하고. 그 뒤 권극립·정사상·손우남을 모시게 되었다.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입주전 / 立主奠 [생활]
상례 때 무덤 곁에서 신주에 제주한 후 찬을 올리는 의식. 신주목에 고인의 관직과 이름을 먹으로 적어 신주를 완성하는 것을 입주라고 한다. 민간에서와 달리 국장의 대상 때에는 두 번의 신주 제작이 있다. 이 중에서 재궁을 현궁에 안장한 후 곧바로 입주하는 신주를 우주라
입직 / 入直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장수와 군사가 궁궐 안에 들어가 직숙하는 제도. 직숙의 교대는 3일이 대부분이며 병조만 매일 교대한다. 임무를 총괄하는 부서는 병조로서, 직숙하는 담당 지역과 시간을 나누어 정한 뒤 왕의 허락을 받는다. 왕의 허락을 받은 다음 담당 지역과 직숙 관계에 대한
입학도설 / 入學圖說 [종교·철학/유학]
권근이 성리학의 기본원리를 도식화하여 설명한 책. 1책 62장. 전집은 <대학>과 <중용>을 배우려는 초학자용, 후집은 그 후 완성시킨 책이다. 모두 40편의 도설이 실려 있다. 이 중에 <천인심성합일지도>와 <대학지장지도> <중용수장분석지도>가 주요한 내용을 담고 있
입향조 / 入鄕祖 [사회/촌락]
어떤 마을에 맨 먼저 정착한 사람이나 조상. 마을은 자연과 인간과 생활이 조화된 전통적 한국 사회의 기반적 단위이다. 여기에서는 비교적 자급자족적인 성격이 강한 농업·임업·어업 등 자연 산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을 중심으로 생활이 이루어지며, 생산과 생활을 유지하기 위한
입호제도 / 入戶制度 [사회/촌락]
전통사회의 자연 촌락에서 마을사람들에게 이익이 되도록 경지·산야·어장 등을 공동의 벌이터로 이용하는 관행. 이러한 관행에 따라 마을의 기본 구성원이 되는 것을 입호라 하고, 입호에 따른 관습상의 권리를 입호권이라 한다. 입호권은 기본 성원이었던 아버지를 승계한 맏아들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