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개념용어 총 1,896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개념용어
파스파문자 / 八思巴文字 [언어/언어/문자]
원나라 라마승 파스파(’Phags-pa, 八思巴)가 티베트 문자에 기초하여 원나라의 말을 나타내기 위해 네모꼴로 만든 음소문자. 1265년(至元 2)에 원나라 세조 쿠빌라이 칸이 국사(國師)인 라마승 파스파에게 명하여 만들어 1269년(至元 6)에 반포한 것으로, 티베
파업 / 罷業 [사회/사회구조]
노동자들이 자신의 요구를 관철시키기 위해 생산활동이나 업무 수행을 일시적으로 중단하는 집단행동. 노동자들이 노동조합의 지휘하에, 또는 그들의 자발적인 방식으로 사용자(들)에게 노무의 제공을 중단하는 집단적인 쟁의행위를 말한다. 파업은 노동자들의 가장 전형적 쟁의행위로
파열음 / 破裂音 [언어/언어/문자]
두 개의 조음기관(調音器官)을 완전히 폐쇄하였다가 폐장기류(肺臟氣流)를 내보내면서 파열시키는 언어음. 파열음은 주로 자음의 조음방식에 따라 분류할 경우에 쓰이는 음성학적 명칭이다. 국어의 /ㄱ ㄲ ㅋ/, /ㄷ ㄸ ㅌ/, /ㅂ ㅃ ㅍ/ 등의 장애음(障碍音)들과 /ᄠᅳᆷ
파찰음 / 破擦音 [언어/언어/문자]
두 조음기관(調音器官)을 폐쇄시켜 공기를 압축하였다가 공기를 일시에 파열시키지 않고 천천히 내보내면서 마찰시키는 언어음. 현대국어의 파찰음으로는 /ㅈ ㅉ ㅊ/ 세 가지뿐이다. 이들은 혓바닥의 일부분을 경구개(硬口蓋)에 대고 공기를 폐쇄시켰다가 혓바닥을 떼면서 마찰시켜
파출부 / 派出婦 [사회/사회구조]
시간제 또는 일일 고용 형태로 가정과 계약을 맺고 가사를 전담하거나 보조하는 여자. 파출부가 하는 일은 크게 세탁·청소·요리 등으로 나누어진다. 이밖에 바느질·장담그기·아기보기 등의 일을 맡기도 하는데, 현재는 간병을 제외하고는 가정의 모든 일을 도맡아 하고 있다. Y
판소리계소설 / ─系小說 [문학/고전산문]
춘향전, 심청전 등 일반적으로 판소리 사설의 영향을 받아 정착된 소설. 판소리는 본래 열두 작품이 있었다고 하는데, 현재는 다섯 작품만이 판소리로 연행되고 있다. 창을 잃은 작품은 소설로 정착되어 그 내용을 짐작할 수 있는 것도 있지만, 그 내용마저 알 수 없게 된 작
판자촌 / 板子村 [사회/사회구조]
판자 이외의 다양한 재료를 사용해 건축한 무허가 불량주택이 밀집된 무허가 정착지. 한국의 근대적 도시의 불량촌(불량주택 밀집지역)의 기원은 일제시대의 토막민촌이다. 해방과 한국전쟁을 거치면서 월남민 및 도시 이재민들의 주거 형태로서 판자촌이 확산되었다. 판자집은 194
팔경시 / 八景詩 [문학/한문학]
자연의 승경을 8가지 경치로 구분하여 시화한 산수시. 우리 나라의 경우 고려의 이인로(李仁老)○진화(陳澕)○이제현(李齊賢) 등에 이어 조선조 강희맹(姜希孟) 부자○신숙주(申叔舟)○이행(李荇) 등을 거쳐서 후기에 이르기까지 활발한 창작 양상을 보여준다. 이에 따라 각처의
팔씨름 / 팔씨름 [예술·체육/체육]
두 사람이 각기 한 쪽 팔꿈치를 바닥에 대고 한 손을 마주잡아 안쪽으로 넘어뜨려 승부를 겨루는 민속놀이. 팔심을 겨루는 내기이다. 즐길 수 있는 나이의 폭이 넓어 어린이로부터 청장년에 이르기까지 두루 즐긴다. 엎드려서 겨루기도 하나 보통은 팔꿈치를 탁자 위에 올려놓고
패관문학 / 稗官文學 [문학/한문학]
패관들이 모아 기록한 가설항담에 창의성과 윤색이 가미된 일종의 산문적인 문학양식. 패관문학이라는 말이 국문학사와 소설사에서 쓰이기 시작한 것은 김태준(金台俊)의 『조선소설사 朝鮮小說史』가 처음이다. 그러나 역사적으로는 패관문학보다 패관소설(稗官小說)·패사(稗史)·패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