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종교·철학 총 4,272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종교·철학
대순전경 / 大巡典經 [종교·철학/신종교]
1929년 이상호와 이정립이 증산교 창시자 강일순의 행적과 가르침을 수집·정리하여 편찬한 증산교경전. 1929년 이상호(李祥昊)·정립(正立) 형제가 증산교의 창시자 강일순(姜一淳)의 행적과 가르침을 수집, 정리하여 편찬하였다. 이들 형제는 보천교(普天敎)의 간부로 있
대순진리회 / 大巡眞理會 [종교·철학]
증산교 교단 중의 하나. 1958년 태극도의 도주 조철제가 사망하자 제2대 도주로 선출된 박한경과 조철제의 아들 조영래 사이에 분쟁이 생겼다. 이에 박한경은 1969년 자신의 추종자들과 함께 서울시 성동구 중곡동에서 대순진리회를 설립하였다. 1971년 종단의 도장을 완
대승관행 / 大乘觀行 [종교·철학/불교]
남북국시대 통일신라 승려 원효가 대승관행에대하여 해설한 불교서. 불교주석서. 『신편제종교장총록(新編諸宗敎藏總錄)』, 『나라록(奈良錄)』 등의 기록에 따르면 원효 저술로 추정되는 1권 혹은 3권의 책인데, 산실되어 현존하지 않기 때문에 자세한 내용은 알 수 없다. 『신
대승기신론동이략집 / 大乘起信論同異略集 [종교·철학/불교]
남북국시대 통일신라 승려 견등이 성종의 기신론과 상종의 유식론의 사상을 비교하여 논술한 교리서. 불교교리서. 2권. 이 책은 『성유식론』이 저술된 이후 『대승기신론』에 이르기까지 불교사상이 어떻게 연구, 발전되었는가를 살필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며, 유식사상과 여래장
대승기신론별기 / 大乘起信論別記 [종교·철학/불교]
남북국시대 통일신라 승려 원효가 대승기신론』을 풀이한 주석서. 불교서. 원효는 『대승기신론』에 대해서 8종의 주석서를 남겼는데, 이 중 현존하는 것은 『대승기신론소(大乘起信論疏)』와 『대승기신론별기(大乘起信論別記)』 뿐이다. 『대승기신론』은 5분(分)으로 구성되는데,
대승기신론소 / 大乘起信論疎 [종교·철학/불교]
원효가 <대승기신론>에 단 주석서. 그 구성은 종체를 밝힌 부분과 제목을 해설한 부분, 본문의 귀절을 해설한 부분으로 되어 있다. 일심, 중생심을 중심으로 만법을 설명하였다. 새로이 진여의 세계에 도달할 것을 제시하고 있다.
대승대집지장십륜장서 / 大乘大集地藏十輪經序 [종교·철학/불교]
남북국시대 통일신라 승려 신방이 현장의 한역본인 『대승대집지장십륜경』을 간행할 때 지은 서문. 불교경전서문. 신방은 현장의 4대제자 중 1인으로서, 651년(진덕여왕 5) 현장을 도와 『십륜경』을 번역하면서 이 서문을 지었다. 내용은 현장의 번역본이 『십륜경』의 구역
대승불교 / 大乘佛敎 [종교·철학/불교]
1세기경에 일어난 불교의 한 종파. 대승이란 말은 큰수레라는 뜻으로 대승불교의 가르침은 모든 중생을 제도하는 큰 수레와 같다는 의미에서 나왔다. 대승불교는 중국, 한국, 티벳 등의 북방민족에 전파되었다. 대승불교의 특징으로는 이타행에 대한 강조를 들 수 있다.
대승유가만수실리왕경서 / 大乘瑜伽曼殊室利王經序 [종교·철학/불교]
남북국시대 통일신라 승려 혜초가 『만수실리왕경』에 대하여 지은 서문. 불교경전서문. 저자가 780년(선덕왕 1) 중국의 오대산 건원보리사(乾元菩提寺)에 머물면서 쓴 것으로, 인도 구법여행(求法旅行) 이후의 행적뿐만 아니라 그의 밀교사상을 보여주는 자료이다. 이 글에
대승육정참회 / 大乘六情懺悔 [종교·철학/불교]
남북국시대 통일신라 승려 원효가 대승의 진실한 참회법을 요약하여 설파한 불교서. 1권. 중생이 눈·귀·코·혀·몸·뜻의 6정으로 여러 가지 번뇌를 만들어서 괴로워하지만, 근본무명(根本無明)을 버리고 죄업의 체(體)가 없음을 관찰하면 합리적인 생활을 할 수 있다는 것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