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종교·철학 > 유학 3,57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종교·철학 > 유학
  • 삼조보감 / 三朝寶鑑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 정조·순조·익종의 사적을 수록한 책. 14권 4책. 목판본. 세종의 명령으로 편찬이 시작되고 세조대에 첫 번째 책이 나온 이후 여러 차례에 걸쳐서 이루어졌다. 이 책은 조인영 등이 헌종의 명령을 받아 1848년(헌종 14)에 완성한 것이다. 앞머리에 헌종의

  • 상례비요 / 喪禮備要 [종교·철학/유학]

    조선 중기의 학자 신의경이 찬술한 상례 관계의 초보적인 지침서. 2권 1책. 목판본. 이 책은『가례』의 상례관계의 본문을 중심으로, 『예경』과 여러 학자들의 이에 관한 해석을 참고, 유취하여 초상에서 장제에 이르는 모든 예절을 요령 있게 찬술하였다. 그리고 사당·신주·

  • 상례편람 / 喪禮便覽 [종교·철학/유학]

    조선 말기의 학자 김정주가 편찬한 상례와 제례에 관한 책. 2권 1책. 필사본. 김정주의 서문에 의하면 1829년(순조 29)에 착수하여 1831년에 완성한 것으로 되어 있다. 이 사본은 1869년(고종 6)에 필사한 것이다. 제1권에 초종·성복·오복·상상·강복·조·분

  • 서거정 / 徐居正 [종교·철학/유학]

    1420(세종 2)∼1488(성종 19). 조선 전기의 문신. 익진 증손, 할아버지는 의, 아버지는 미성이다. 어머니는 권근의 딸이다. 최항이 그의 자형이다. 조수·유방선 등에게 배웠으며, 학문이 매우 넓어 천문·지리·의약·복서·성명·풍수에까지 관통하였다. 훙문관부수

  • 서경덕 / 徐敬德 [종교·철학/유학]

    1489-1546. 조선 중종 때의 성리학자. 독학으로 공부하였으며 평생을 안빈낙도의 자세로 학문하였다. 그는 장재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그는 이를 기의 작용에 대한 법칙으로 보았다. 따라서 이기의 선후문제에 있어서 이가 기보다 선행한다고 보지 않았다. 이러한 입장은

  • 서경보 / 徐耕輔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71∼1839). 종태의 현손, 증조는 명균, 할아버지는 지수, 아버지는 유신이다. 이조판서 영보의 동생이다. 음보로 순창·예천의 군수를 지내다가, 1825년 장원으로 급제, 대사성이 되었다. 1828년 전라도감찰사로 부임하였으나 탄핵을 받고 파

  • 서계집 / 西溪集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학자 박세당의 시문집. 20권 10책. 목판본. 서·발·부록 등이 없어 편저의 확실한 연대는 알 수 없다. 제1책에 총목이 있고, 다시 각권 머리에 목록이 실려 있다. 권1∼4에 시, 권5에 소차, 권6에 소차·계사·공함, 권7에 서·변론·서(序), 권8

  • 서기수 / 徐淇修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71∼1834). 1801년 급제 후 한림원기거주가 되었으나 곧 모함으로 유배되었다. 5년의 유배생활 동안 오직 독서에만 전념하였다. 풀려나자 백두산을 유람한 뒤 〈유백두산기〉를 썼다. 이후 세자시강원문학, 성균관대사성, 이조참의 등을 지냈다.

  • 서명응 / 徐命膺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1716∼1787). 정리 증손, 할아버지는 문유, 아버지는 종옥, 어머니는 이집의 딸이다. 영의정 명선의 형이다. 1754년(영조 30) 증광문과에 급제하여 후에 이조판서·대제학 등을 지냈다. 이용후생을 추구하였는데, 이는 아들 서호수와 손자

  • 서명형 / 徐命珩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687∼1750). 1723년(경종 3) 식년 문과에 급제, 영조 때 정언·헌납 등 사간원의 간관으로 활동하여 왕의 신임을 받았다. 이후 승정원승지·대사간을 거쳐 도승지로 있으면서 임인사화 때 죽은 김성행·백망 등의 추증을 요청하였다.

페이지 / 358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