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임치도진 / 臨淄島鎭 [정치·법제/국방]

    전라도 함평현에 있던 수군의 거진. 『신증동국여지승람』권 36 함평현 관방조에 “臨淄鎭在縣西七十七里 與靈光郡臨淄島相對 有右道水軍僉節制使營 所管 黔毛浦 法聖浦 多慶浦 木浦 於蘭浦 群山浦 南桃浦 全甲島”라 하였다. 이 기사 및 대동여지도 제18로 보아 임치도진보다는 임치

  • 임치정 / 林蚩正 [역사/근대사]

    미상-1932. 독립운동가. 호는 춘곡(春谷). 평안남도 용강 출신. 이조판서 국로(國老)의 아들이다. 1904년 미국에 건너가 안창호(安昌浩) 등과 함께 교포단체인 공립협회(共立協會)를 조직하여 간사로 활동하는 동시에 그 기관지인 《공립신보 共立新報》를 간행하였으며

  • 임태일 / 任泰馹 [역사/근대사]

    1899-미상. 일제강점기 항일운동가. 전라남도 광양군(光陽郡) 진월면(津月面) 송금리(松琴里)에서 출생하였다. 1919년 4월 15일 광양군 진월면(津月面) 송금리(松琴里)에서 독립만세시위를 계획하고 서당 학생들과 같이 태극기를 제작하는 등 준비를 갖추었다. 이날

  • 임평 / 林平 [역사/근대사]

    1908-1942.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 1925년 서울 보성고등보통학교(普成高等普通學校)에 입학하여 수학하였다. 이후 보성전문학교(普成專門學校: 현 고려대학교)에 입학하여 1929년까지 수학하였다. 1929년 광주학생운동(光州學生運動)이 발생하여 전국적으로 항일독

  • 임피 / 臨陂 [지리/인문지리]

    전라북도 군산 지역의 옛 지명. 본래 백제의 시산군(屎山郡, 또는 陂山·所島·失鳥出郡)이었는데, 757년(경덕왕 16) 임피군으로 고치고 옥구·회미·함열을 관할하게 하였다. 고려시대에는 현으로 강등하고 현령관을 두어 회미·옥구·만경·부윤을 다스리게 하였다. 조선시대에도

  • 임피향교 / 臨陂鄕校 [교육/교육]

    전라북도 군산시 임피면 읍내리에 있는 향교. 1403년(태종 3)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다가 1630년(인조 8)에 이전, 중건하였으며, 1710년(숙종 36)에 현재의 위치로 이건하였다.

  • 임필대 / 任必大 [종교·철학/유학]

    1709년(숙종 35)∼1773년(영조 49). 조선 후기 유학자. 부친은 임수국이다. 이의태·권렴·최흥원·김낙행·이상정 등과 교유하였다. 1771년(영조 47) 향교의 훈장이 된 후 퇴계 이황의 사단칠정론을 가르쳤다. 저서로《문회약조》·《제의문결약조》·《봉선절목》 등

  • 임하 / 臨河 [지리/인문지리]

    경상북도 안동 지역의 옛 지명. 본래 신라의 굴화현(屈火縣, 또는 屈弗縣)이었는데, 757년(경덕왕 16) 곡성군(曲城郡)으로 고쳐 명주(溟州)에 속하게 하였다. 이 시기에 청송의 안덕 지역을 곡성군 속현으로 한 점으로 보아 그 영역이 상당히 넓었던 것으로 추측된다.

  • 임하댐 / 臨河─ [경제·산업/산업]

    경상북도 안동시 임동면 망천리와 임하면 임하리 사이에 있는 댐. 높이 73m(해발고도 168m), 길이 515m, 총저수용량 5억 9500만㎥이며, 록필(rock fill)식 사력(砂礫)댐이다. 시설발전용량 5만㎾, 유효낙차 48.4m, 유역면적 1,361㎢이며, 저수

  • 임하도 / 林下島 [지리/자연지리]

    전라남도 해남군 문내면 예락리에 있는 섬. 동경 126°17′, 북위 34°37′에 위치하며, 예락리 해안에서 서쪽으로 0.3㎞ 떨어져 있다. 면적은 0.55㎢이고, 해안선 길이는 4.8㎞이다. 기존 방조제 형태의 도로를 대신해 임하연륙교(길이 180m, 너비 8m)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