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임용상 / 林龍相 [역사/근대사]

    1877-1958. 항일기의 의병장. 자는 충서(忠瑞). 호는 중호(中虎). 을사조약이 체결되자 의병을 조직하여 동해창의대장으로 청하·영덕 등지의 주재소를 습격했고, 1909년 울산·언양·양산 등지에서 일본군과 교전하다 붙잡혀 옥고를 치렀다. 이후 보현산에서 산남의진

  • 임원경제지 / 林園經濟志 [경제·산업/산업]

    조선 후기 실학자 서유구(徐有榘)가 저술한 박물학서. 이 책은 저자가 서문에서 밝히듯이, 전원생활을 하는 선비에게 필요한 지식과 기술, 그리고 기예와 취미를 기르는 백과전서로 생활과학서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 이 책은 113권을 16개 부문으로 나눈 논저로 이루어졌다.

  • 임유정 / 林惟正 [문학/한문학]

    고려시대 녹사, 국자감좨주 등을 역임한 관리.문신. 생몰연대가 자세하지 않다. 그가 남긴 시제 등을 참고하면, 1140년대에 태어나 1190년대까지 활동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그는 무신집권기의 전반기인 명종 초에 과거에 급제하고 명종 말까지 생존하였던 것으로 생각된

  • 임의백 / 任義伯 [종교·철학/유학]

    1605(선조 38)∼1667(현종 8). 조선 중기의 문신. 열 증손, 할아버지는 영로, 아버지는 연, 어머니는 정유성의 딸이다. 김장생의 문인, 송시열·송준길 등과 교유하였다. 1655년 승지·황해도관찰사를 거쳐, 1657년 경상도관찰사, 1659년(현종 즉위년)

  • 임의탁 / 林義鐸 [역사/근대사]

    1891-미상. 독립운동가. 일명 동환(東煥)·창식(昌植). 평양 출신. 1911년 일제요인을 사살할 목적으로 경술결사대(庚戌決死隊)를 조직하고 그 대장이 되어 상경, 1912년 일제 경무부의 일본인 경부(警部) 니시카와(西川)를 사살한 뒤 중국 상해(上海)로 망명하였

  • 임이걸 / 林利杰 [역사/근대사]

    1898-1961. 독립운동가. 평양 출신. 일찍이 평양숭실학교 재학생과 졸업생을 중심으로 조직되었던 비밀결사단체인 조선국민회(朝鮮國民會)에 가담하였고, 황해도 안악군 동창면에 설립되었던 사립 배영학교(培英學校)에서 교편도 잡았다. 그러나 사상이 불온하다는 이유로 일제

  • 임익빈 / 任益彬 [종교·철학/유학]

    1680(숙종 6)∼1744(영조 20). 조선 후기의 문신. 김익지의 문인이다. 1717년 평안도 별시문과에 갑과로 급제하였다. 사헌부감찰, 이조정랑 등을 역임하였다. 『대학』·『근사록』 등에 정통하였다고 한다.

  • 임자도 / 荏子島 [지리/자연지리]

    전라남도 신안군 임자면에 속하는 섬. 임자도는 신안군의 최북단에 위치하고 있으며 광주로부터 90㎞, 목포와의 거리는 66.6㎞, 지도(智島)점암에서는 12㎞ 지점에 있다. 동경126。05", 북위 34。05"에 위치하며, 동으로 지도읍, 남쪽으로는 자은면, 북쪽으로는

  • 임자도패총 / 荏子島貝塚 [역사/선사시대사]

    전라남도 신안군 임자면의 임자도에 있는 청동기시대에서 초기 철기시대에 걸친 시기의 폐기물처리 생활유적. 임자도는 목포항 서북쪽 약 40㎞ 지점에 위치하며 대개 높이 200m 이내의 낮은 야산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곳에서 발견된 선사유적은 고인돌과 조개더미이다. 그

  • 임자록 / 壬子錄 [문학/고전산문]

    조선 광해군 때 유진(柳袗)이 지은 일록류(日錄類)의 산문. 필사본. 지은이는 유성룡(柳成龍)의 셋째 아들이다. 1612년(광해군 4) 임자 정월에 발단된 해서(海西)의 역옥사건인 김직재(金直哉)의 무옥에 연루되었다는 혐의를 입고 하회에서 체포되어 서울로 압송, 투옥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