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임성주 / 任聖周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학자(1711∼1788). 이재의 문인이다. 1750년 세자익위사세마가 되고 시직에 승진하였으나 곧 사직하고, 1758년 공주의 녹문에 은거하였다. 1776년 정조가 즉위한 뒤 동궁을 보도하고 지방관을 지내다가 다시 녹문에 은거하여 학문연구로 여생을 보냈

  • 임성칠 / 林成七 [역사/근대사]

    1901-1920.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 거주지는 중국 만주(滿洲) 길림성(吉林省) 연길현(延吉縣)이다. 중국 연길현에 있는 대한독립단(大韓獨立團)의 단원으로 활동하다가 일본군에게 체포되어 조사를 받던 도중에 탈출을 시도하여 성공하였으나, 연길현 모루구(母樓溝)에

  • 임소반국 / 臨素半國 [지리/인문지리]

    삼한시대의 소국. 마한 54소국 중의 하나이다. 『삼국지(三國志)』 위서 동이전의 한전(韓傳)에는 우리 나라 고대의 삼한의 여러 소국의 이름이 기록되어 있는데, 그 이름의 한자표기는 본디 우리말의 이름을 당시 중국음에 의하여 표기한 것이다. 임소반국의 ‘임(臨)’자는

  • 임수간 / 任守幹 [종교·철학/유학]

    1665(현종 6)∼1721(경종 1). 조선 후기의 문신. 선백 증손, 할아버지는 중, 아버지는 상원, 어머니는 정식의 딸이다. 1694년 알성문과에 병과로 급제, 교리, 정언, 승지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돈와유집』이 있다.

  • 임수명 / 任壽命 [역사/근대사]

    1894-1924년. 여성독립운동가. 충청북도 진천 출신. 1912년 서울에서 간호원으로 근무할 때 일본경찰에 쫓겨 환자로 가장하여 입원하고 있던 신팔균(申八均)과 1914년 결혼하였다. 그뒤 신팔균과 함께 만주에서 비밀문서의 전달, 군자금의 모금, 독립군후원 등에 힘

  • 임수명 / 林守明 [역사/근대사]

    1897-1977.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 다른 이름은 임경(林鏡)·임작주(林作柱)이다. 본적은 전라북도 정읍(井邑)이고, 독립운동 당시 주소는 전라남도 여수(麗水)이다. 조부는 호남에서 의병을 일으킨 최익현(崔益鉉)의 의병장으로 활약했던 임병찬(林炳瓚)이고, 부친

  • 임숙영 / 任叔英 [종교·철학/유학]

    1576(선조 9)∼1623(인조 1). 조선 중기의 문신. 열의 증손, 할아버지는 숭로, 아버지는 기, 어머니는 정유일의 딸이다. 승문원정자, 박사를 거쳐 주서, 예문관검열과, 부수찬, 지평을 역임하였다. 그가 지은「통군정서」는 중국학자들로부터 크게 칭찬을 받았다고

  • 임승복 / 林勝福 [예술·체육/연극]

    1912-미상. 일제 강점기 극작가. 필명은 임선규(林仙圭)이고, 개명한 이름은 임중랑(林中郞)이다. 본적은 충청남도 논산군(論山郡) 관동리(官洞里)이다. 부인은 여배우 문예봉(文藝峰)이다. 1927년부터 1931년까지 공립강경상업학교 3학년을 수료한 뒤, 1931

  • 임시제실유급국유재산조사국 / 臨時帝室有及國有財産調査局 [역사/근대사]

    구한말 제실재산(帝室財産)과 국유재산을 분할, 조사할 목적으로 임시로 설치된 관청. 내각총리대신이 감독하여 제실유재산 및 국유재산을 조사하고, 그 소속을 판정하며 정리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였다. 1907년부터 시작한 사업이 궁내부 관리의 재산을 제실재산과 국유재산으로

  • 임실향교 / 任實鄕校 [교육/교육]

    전라북도 임실군 임실읍 이도리에 있는 향교. 1413년(태종 13)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配享)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임진왜란 때 일부 소실되었다가 1854년(철종 5)김성근(金性根) 등이 대성전을 중수하고, 1869년(고종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