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임대년 / 任大年 [종교·철학/유학]

    ?∼1695 조선후기 문신. 임백영 현손이다. 집안의 의장을 팔아 가난한 사람들을 위해 도와주었으며, 흉년이 든 해에는 자기의 전토를 팔아서 이웃과 마을 사람들에게 곡식을 나누어 주었는데, 그 숫자가 수천 명이었다고 한다. 상신 이단하가 인재로 조정에 아뢰어 경양찰방을

  • 임대주택 / 賃貸住宅 [사회/촌락]

    국가, 지방자치단체 또는 민간 사업자가 건축하여 일정한 임대료를 받고 거주자에게 빌려주는 주택. 우리나라 최초의 임대주택은 1962년 대한주택공사에 의해 건설·공급된 마포구 도화동의 소형 아파트였다. 그로부터 10년이 지난 1972년에는 정부가 미분양된 개봉동 주공아파

  • 임도 / 臨道 [지리/인문지리]

    강원도 통천 지역의 옛 지명. 본래 고구려의 도림현(道臨縣, 또는 助乙浦)이었는데, 757년(경덕왕 16) 임도로 고쳐 금양군(金壤郡)의 영현으로 하였다. 현종 때통천의 속현으로 하였으며, 조선시대에 들어와 직촌(直村)이 되었다. 지형은 태백산맥의 찰파현(察破峴) 부근

  • 임동광산 / 林洞鑛山 [경제·산업/산업]

    함경북도 길주군 장백면 임동에 있는 운모광산. 이 광산에서 생산되는 운모는 금운모로 백운모에 비하여 열에 대한 안정성이 높아 질이 좋으며 매장량도 풍부하다. 1908년에 포수광산과 함께 발견되었으며, 1909년부터 채굴에 착수하였다. 1910년에 일한운모회사가 설립되면

  • 임득연 / 林得淵 [역사/근대사]

    1896-1953.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 본적은 경상북도 안동(安東) 임하(臨河)이다. 3·1운동 이후 전국적으로 독립만세운동이 전개되자 유북실(柳北實)·임춘섭(林春燮)·임범섭(林範燮)·임찬일(林燦逸)·김원진(金源鎭)·임동숙(林東淑)·임윤익(林潤益)·박유석(朴有石

  • 임명천 / 臨溟川 [지리/자연지리]

    함경북도 학성군 학서면의 산간에서 발원하여 서쪽에서 동쪽으로 관류하여 동해로 흘러드는 하천. 길이 42㎞. 산간을 동류하다 세천동부근에서 유로를 동남쪽으로 돌리면서 곡저평야를 만들고, 학중면으로 나오면서 넓은 평야를 만든다. 남쪽의 갈파천(葛坡川)이 동류하여 나오면서

  • 임방 / 任埅 [종교·철학/유학]

    1640(인조 18)∼1724(경종 4). 조선 후기의 문신. 영로 증손, 할아버지는 연, 아버지는 의백, 어머니는 김상의 딸이다. 송시열과 송준길의 문인이다. 1701년(숙종 27) 알성문과에 병과로 급제, 장령·승지·공조판서를 역임하였다.『논어취분』·『사가할영』·『

  • 임백경 / 任百經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800∼1864). 임조용 증손, 할아버지는 임희직, 아버지는 임존상, 어머니는 남속의 딸이다. 1827년(순조 27) 증광문과에 급제하여 이후 형조판서·비변사당상 등을 역임했다. 1856년(철종 7)에는 동지사로 청나라를 다녀오기도 했다. 저서로

  • 임백윤 / 任白允 [역사/근대사]

    1880-미상.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 본적은 경기도 광주(廣州) 도척(都尺)이다. 1907년(융희 1) 7월 24일 일제에 의해 한일신협약(韓日新協約)이 체결되자 이에 격분하여 전국적으로 대대적인 의병 봉기가 일어났는데, 같은 해 8월 의병을 일으켰던 임옥여(任玉

  • 임벽당김씨 / 林碧堂金氏 [문학/한문학]

    조선전기 『임벽당집』을 저술한 시인. 본관은 의성(義城). 별좌(別座) 김수천(金壽千)의 딸이며, 기묘사화 때 고향인 한산(韓山)으로 돌아가 은거한 유여주(兪汝舟)의 계실이다. 시집으로 『임벽당집』이 규장각과 일본인 다카하시[高橋亨]에게 있었다고 하나 현재 전하지 않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