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임계탄 / 壬癸歎 [문학/고전시가]

    1732년부터 1733년까지 지속된 전라도 장흥 지역의 흉황과 학정을 묘사한 작자 미상의 현실비판가사. 「임계탄」은 현존하는 최초의 현실비판가사이다. 작품의 어조는 장중하며 직정적인 표현이 억제되어 있어 19세기의 현실비판가사와는 일정 정도 차별된다. 전반적으로 체제

  • 임고서원 / 臨皐書院 [종교·철학/유학]

    경상북도 영천시 임고면 양항리에 있는 서원. 1553년(명종 8)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정몽주의 덕행과 충절을 기리기 위해 임고면 고천동에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554년에 ’임고‘라 사액,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다가 1603년(선조 36) 현재의 위치로 이건, 이듬

  • 임관 / 臨關 [지리/인문지리]

    경상북도 경주 지역의 옛 지명. 울산과 경주를 연결하는 군사상 요로에 있으므로 신라의 성덕왕이 성을 쌓아 왜적의 침입을 막도록 하였다. 경덕왕 때 임관군으로 고쳐 동진현(東津縣)과 하곡현(河曲縣)을 속현으로 삼고 경주 관할하에 두도록 하였다. 고려 태조 때 하곡 사람

  • 임광재 / 任光載 [종교·철학/유학]

    ?∼1495(연산군 1). 조선 전기의 부마. 할아버지는 원준, 아버지는 사홍이다. 예종의 딸인 현숙공주의 남편으로 1475년(성종 6) 숭덕대부 의빈부의빈이 되었으며, 1485년 숭덕대부 풍천위, 1492년 풍천위가 되었다. 유배 도중 병이 나 강릉 우계현으로 유배지

  • 임국정 / 林國楨 [역사/근대사]

    1894-1921.항일기의 독립운동가. 1919년 3·1운동 뒤 간도에서 한상호·최봉설 등과 함께 철혈광복단을 조직하여 활동하였다. 1920년 북로군정서 특파원으로 간도일본영사관에 송금되는 돈을 탈취하여 무기를 구입·공급하다가 밀고로 체포되어 사형되었다.

  • 임규 / 任奎 [종교·철학/유학]

    1620(광해군 12)∼1687(숙종 13). 조선 후기의 문신. 영로 증손, 할아버지는 연, 아버지는 준백, 어머니는 이발의 딸이다. 1648년(인조 26) 사마시에 합격, 1670년(현종 11)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그 뒤 정언·장령·집의·수찬·경주부윤 등

  • 임규 / 林圭 [역사/근대사]

    1867-1948. 항일기의 독립운동가. 호는 우정(偶丁). 1895년(고종 32) 일본에 가서 게이오의숙 중학교 특별과를 거쳐 동 전수학교를 졸업한 뒤 서울의 여러 사립학교에서 일본어를 가르쳤다. 최남선으로부터 민족대표 33인이 서명한 통고문과 선언서를 받아 일본

  • 임금 / 賃金 [경제·산업/경제]

    노동자가 노동의 대가로서 사용자로부터 받는 재화를 화폐액으로 나타낸 것. 급료·봉급·보수 등으로 불리는 것 외에 노동자가 받는 모든 재화를 포함하는 포괄적인 개념이다. 근대 이전에는 임금에 의한 고용보다는 신분적 관계에 의한 고용이 일반적인 형태였으며, 소작인의 경우

  • 임기준 / 林基俊 [예술·체육/국악]

    1868-1940년. 가사와 시조의 명창. 서울 출신. 1939년 6월부터 9월까지 이왕직아악부 임시촉탁으로 부임하여 이름난 가인(歌人) 하규일(河圭一)이 부르지 않던 12가사 중 〈수양산가 首陽山歌〉·〈처사가 處士歌〉·〈양양가 襄陽歌〉·〈매화타령〉의 네 곡과 사설지름

  • 임당집 / 恁堂集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고기승의 시문집. 목판본. 5권 2책. 1925. 1925년 후손 병직이 편집간행하였다. 권두에 이해익·윤희구의 서문, 권말에 황박연·고광면·박희철의 발문이 있다. 권1·2에 시 178수, 소 9편, 차 2편, 권3∼5에 서 12편, 기 3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