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일심단 / 一心團 [예술·체육/연극]
1912년 혁신선미단과 이화단이 각각 해산하고 그 두 극단 출신의 연극인이 모여 만든 극단. <경은중보>, <군인구쿠>, <형제병사>, <당장록> 등을 장안사에서 상연한 후에 해산하였다.
일야구도하기 / 一夜九渡河記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에 박지원(朴趾源)이 지은 산문. 시냇물 소리를 통하여 감각기관과 마음의 상관관계를 설명한 글이다. 『연암집(燕巖集)』 권14 『열하일기』의 「심세편(審勢篇)」에 수록되어 있다. 시내가 산과 산 사이로 흘러나와 급한 경사와 바위 등의 굴곡에 의하여 부딪힌 물결
일연 / 一然 [종교·철학/불교]
1206-1289. 고려시대의 승려. 14세 설악산 진전사에서 출가하였다. 22세에 승과에 급제하였다. 32세에 삼중대사가 되었다. 41세에 선사가 되고, 54세에 대선사가 되었다. 56세에 선월사 주지가 되었고, 59세에 오어사에서 불경을 강론하였다. 63세에 고승들
일영유원지 / 日迎遊園地 [지리/인문지리]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삼상리에 있는 유원지. 일영유원지는 공릉천을 따라 펼쳐져 있으며 맑은 계곡물과 함께 즐길 수 있는 자연속의 휴식공간이다. 1970년대 초반 공릉천의 계곡에서 물놀이를 즐기는 사람과 주변 야산을 찾는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음식점이 들어서기 시작하였다.
일옹주증화억옹주교지 / 一翁主贈和憶翁主敎旨 [정치·법제]
1773년(영조 49) 10월 7일. 영조가 일옹주를 화억옹주로 추증하는 교지. 화억옹주에 대한 기록은《조선왕조실록》에는 실려 있지 않으며,《승정원일기》에만 실려 있다. 이 기록에 의하면, 화억옹주는 정빈이씨의 소생으로, 효장세자의 손위누이이다.
일원상 / 一圓相 [종교·철학/원불교]
원불교 교조 소태산(小太山)이 가르친 원불교의 최고 종지(宗旨). 원불교의 신앙의 대상이며 수행의 표본이다. 소태산은 20년 간의 구도과정에서 도달한 대각의 심경을 언어나 문자로 표현하기 전에 일원상(○)으로 상징하였다. 일원상은 곧 사은(四恩)으로서 인간과 불가분리의
일월놀이푸념 / 日月─ [문학/구비문학]
평안북도 강계 지방의 무당굿에서 전승되던 서사무가. 원제목은 ‘일월노리푸념’이며, 내용은 해와 달의 유래를 이야기한 것이다. 1933년손진태(孫晉泰)가 당시 강계읍에 사는 전명수(田明守)의 보유 자료를 채록하여, 1937년『청구학총(靑丘學叢)』 28호에 「무격(巫覡)의
일월산 / 日月山 [지리/자연지리]
경상북도 영양군 일월면과 청기면에 걸쳐 있는 산. 높이 1,219m. 태백산맥의 여맥인 중앙산맥(中央山脈) 중의 한 산으로 경사가 비교적 완만한 산이며, 지질은 편마암류(片麻岩類)로 구성되어 있다. 서쪽으로 약 17㎞ 지점에는 도립공원으로 지정된 청량산이 위치한다. 산
일장기말소사건 / 日章旗抹消事件 [역사/근대사]
1936년 8월 25일자 <동아일보> 2면에 베를린올림픽대회마라톤 우승자 손기정 선수의 사진을 게재하면서, 유니폼에 그려진 일장기를 없애버린 사건. 1936년 8월 독일 베를린에서 열린 올림픽 마라톤부문에서 손기정 선수가 2시간 29분 19초의 기록으로 금메달을 획득했
일직 / 一直 [지리/인문지리]
경상북도 안동 지역의 옛 지명. 본래 신라의 일직현이었는데, 757년(경덕왕 16) 직녕현(直寧縣)으로 고쳐 상주(尙州) 관할의 고창군(古昌郡)의 영현으로 하였다. 그 뒤 고려 초에 일직현으로 고쳤고, 1018년(현종 9) 안동부의 속현이 되었다. 조선 초기에는 안동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