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인현서원 / 仁賢書院 [종교·철학/유학]
평안남도 평양시(현재 평양특별시 보통강 구역) 서성리에 있었던 서원. 1576년(선조 9)에 김계휘 등을 중심으로 한 지방유림이 창건하여 기자의 영정을 모셨다. 1608년(선조 41)에 ‘인현’이라 사액되어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왔다. 1725년(영조 1
인현왕후 / 仁顯王后 [역사/조선시대사]
1667(현종 8)∼1701(숙종 27). 조선 제19대 왕 숙종의 계비. 아버지는 민유중, 어머니는 송준길의 딸이다. 1681년(숙종 7) 가례를 올리고 숙종의 계비가 되었다. 예의가 바르고 덕성이 높아 국모로서 만백성의 추앙을 받았으나, 왕자를 낳지 못하여 왕의 총
인현왕후전 / 仁顯王后傳 [문학/고전산문]
조선 후기 작자 미상의 전기체(傳記體) 소설. 궁중문학류의 일종이다. 숙종 당시의 궁중을 배경으로 왕가 일문에서 인현왕후가 겪어야 했던 생애를 소설체로 엮은 작품이다. 작자는 인현왕후를 모시고 있던 궁인이라는 설이 있으나, 최근의 연구로는 왕후 폐출에 반대하였던 박태보
인흥서원 / 仁興書院 [교육/교육]
대구광역시 달성군 화원읍 본리에 있는 서원. 1866년(고종 3)에 추황(秋篁, 1198∼1259), 추적(秋適), 추유(秋濡, 1345∼1404), 추수경(秋水鏡, 1530∼1600) 등 추계추씨 4현을 제향하기 위해 건립된 서원이다. 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으로 훼철된
인흥온천 / 仁興溫泉 [지리/자연지리]
함경남도 영흥군 인흥면 원서리(지금의 금야군 온정리)에 있는 온천. 온천의 주위에는 100∼200m의 구릉이 연해 있으며, 7호 국도를 비롯하여 도로가 통해 있으므로 교통이 편리하다. 남쪽 가까이에는 범포호(范浦湖)가 있으므로 온천과 호수의 개발로 장차 관광 보양지로
일계 / 日谿 [지리/인문지리]
경상북도 의성 지역의 옛 지명. 본래 신라의 세혜현(勢兮縣, 또는 泥兮)이었는데, 경덕왕이 일계현(日谿縣)으로 고쳐 고창군(古昌郡)의 영현으로 하였다. 세(勢)는 날〔日〕과 같은 표기인데, 날이 ‘나라〔國〕’의 뜻과 통하고, 혜(兮)는 명사의 접미사이므로 일계는 ‘주읍
일관도 / 一貫道 [종교·철학]
중국에서 들어온 외래 신종교. 우리나라는 1947년 중국인 이덕복, 장서전, 김은선에 의해서이다. 이들 세 사람을 삼전인이라고 한다. 1952년 부산에서 도덕기초회라는 통합교단을 만들었다. 이후 중국에서 김복당이 들어와 일관도는 손우헌의 도덕기초회, 김복당과 신숙희의
일광광산 / 日光鑛山 [경제·산업/산업]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면 원리에 있었던 구리광산[銅鑛山]. 혈암(頁岩)·사암(砂岩)·화강섬록암(花崗閃綠岩)이 분포하며, 광상(鑛床)은 각력질(角礫質) 파이프상광상이다. 1937년에 선광장(選鑛場)이 건립되어 금·은·구리를 생산하였으나, 지금은 구리를 주로 생산하고 은을
일군색 / 一軍色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 후기 장교·군병·원역의 봉급이나 급료를 관장하였던 병조 소속의 관서. 금군·호련대·내취의 보가 내던 포를 수납하여 장교를 비롯한 군병·원역의 봉급이나 급료를 조달하고 지급하는 일을 맡았다. 지급 주기는 매월, 춘추 2기, 1년에 3기, 또는 4기로 지급하는 것이
일금록 / 一琴錄 [문학/한문학]
조선후기 저자 미상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65년~1914년 사이 필사한 시문집. 6책. 필사본. 1865년(고종 2)∼1914년 사이에 필사된 것으로 추정된다. 『일금록』의 책1∼4에 서찰, 책5는 제문·전문(箋文)·예장(禮狀), 책6은 전령(傳令)·보장(報狀)·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