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인천체육관 / 仁川體育館 [지리/인문지리]

    인천광역시 중구 도원동에 있는 실내종합체육관. 1973년 12월 준공되었으며 인천광역시 체육회 소관이다. 시민의 체위향상과 복지시설 건립의 일환으로 1969년 9월 유승원(柳承源)을 위원장으로 한 사단법인 인천체육관 건립추진위원회가 조직되었다. 여기에서 국고보조금 1억

  • 인천항 / 仁川港 [지리/인문지리]

    인천광역시 중구에 있는 항구. 우리나라의 수도인 서울특별시로 진입하는 관문 역할을 해오고 있으며, 국내 최대 공업지대의 하나인 수도권공업지대와 중부지방을 세력권으로 하는 서해안 제일의 무역항이다. 정기 여객항로는 인천∼제주를 포함하여 5개 항로, 낙도 보조항로는 인천∼

  • 인천항어상회사원명부 / 仁川港魚商會社員名簿 [정치·법제]

    인천항을 기반으로 설립된 어상회사(魚商會社) 사원 명단. 사장은 안경익(安慶翼), 이성현(李聖鉉), 장무는 김덕흥(金德興), 김동현(金東鉉), 사원은 정흥택(鄭興澤)을 비롯해 모두 24명이 기록되었다. 이 문서는 1899년(광무 3) 이전에 작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 인천항전운회사원명부 / 仁川港轉運會社員名簿 [정치·법제]

    1907년(융희 1)에 인천에 거점을 두고 설립된 전운회사의 직원 명단. 1907년 김정곤(金貞坤) 등이 중심이 되어 설립한 사립 전운회사이다. 직원록에는 사장 김정곤을 비롯해 총무 최치홍과 위원으로 김한영, 강정식, 사원으로 양봉구, 김병운 등이 기록되었다.

  • 인천항포목전명단 / 仁川港布木廛名單 [정치·법제]

    인천항에서 포목전을 운영하고 있는 상인의 명단. 장내흥(張乃興)을 비롯해 모두 14명의 명단이 기록되었다. 이 문서에 기록된 장내흥이나 최봉현 등은 재력을 바탕으로 인천이나 강화 등지에 설립된 학교에 찬조금을 내기도 하였다.

  • 인천향교 / 仁川鄕校 [교육/교육]

    인천광역시 남구 관교동에 있는 향교. 조선시대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창건연대는 미상이며, 그 밖에 자세한 기록은 남아 있지 않다. 1976년 대성전·명륜당·삼문(三門) 등을 보수하였다. 현존하는 건물로는 6칸

  • 인천화력발전소 / 仁川火力發電所 [경제·산업/산업]

    인천광역시 서구 원창동에 있는 발전소. 시설용량 115만㎾의 중유 및 천연가스(LNG) 연소겸용 화력발전소로서 연간 약 100억㎾의 발전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생산된 전력은 수도권 및 인천지역에 공급되고 있다. 1970년대 초의 경인지역 기저부하를 담당하기 위한 1·2

  • 인통장 / 印筒匠 [생활]

    도장을 넣어 두는 통을 만드는 일을 전문으로 하는 장인. 국가적인 행사인 국장을 비롯한 가례, 책례, 예장, 장례, 존호 등에 필요한 의례용 금보나 옥인이 신분에 따라 만들어지면, 이를 담을 통을 만드는 일을 맡았다. 도장과 이를 담는 통도 신분에 따라 모든 것에서

  • 인평대군 / 麟枰大君 [역사/조선시대사]

    1622(광해군 14)∼1658(효종 9). 조선 후기의 왕족. 인조의 셋째아들, 효종의 동생, 1628년 7세 때 인평대군에 봉해졌다. 1640년 볼모로 심양에 갔다가 이듬해 돌아온 이후, 1650년부터 네 차례에 걸쳐 사은사가 되어 청나라에 다녀왔다.『송계집』·『연

  • 인풍 / 隣豊 [지리/인문지리]

    경상북도 영주 지역의 옛 지명. 본래 고구려의 이벌지현(伊伐支縣, 또는 自我支縣)이었는데, 신라 경덕왕 때 인풍현으로 고쳐 급산군(岌山郡, 또는 及山郡)의 영현으로 하였다. 급산군은 본래 고구려의 급벌산군(及伐山郡)이었는데, 신라 경덕왕이 급산군으로 고쳤다. 고려 초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