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인천국제공항 / 仁川國際空港 [지리/인문지리]
인천광역시 중구 공항로에 있는 한국 최대의 국제공항. 전천후 24시간 운항이 가능한 인천국제공항은 연간 41만 회의 항공기 운항과 최대 4400만 명의 여객 및 450만 톤의 화물을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을 보유하고 있다. 아시아 92개(중국 38개, 일본 26개 포함)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 / 仁川國際空港高速道路 [지리/인문지리]
인천광역시 중구 인천국제공항과 경기도 고양시 강매동을 연결하는 고속도로. 2010년 9월 현재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는 교량 2개(영종대교, 방화대교 총 연장 6,979m)와 분기점 4개(북로, 88, 노오지, 공항신도시), 나들목 6개(김포공항, 북인천, 금산, 공항입구
인천기계산업단지 / 仁川機械産業團地 [경제·산업/산업]
인천광역시 남구 도화동과 서구 가좌동에 있는 산업단지. 인천지방공업단지와 같이 1965년에 공업지역으로 지정된 곳으로 1969년에 부지정리공사에 착공하여 1971년에 준공하였으며 1978년에 인천기계공업단지로 지정되었다. 35만 265㎡규모의 도시형 소규모 공업단지이다
인천목재산업단지 / 仁川木材産業團地 [지리/인문지리]
인천광역시 서구 가좌동·석남동 일대에 있는 산업단지. 경인고속도로 인천인터체인지에서 해안쪽으로 0.5㎞거리에 입지하며 목재공업의 계열화 및 기계화로 영세성을 탈피하고 균형있는 발전을 꾀하여 국제경쟁력을 높이고자 조성된 산업단지이다. 목재공업은 원료인 원목의 대부분을 수
인천문화원 / 仁川文化院 [예술·체육/건축]
인천광역시 중구 송학동에 있는 서양식 건물. 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7호. 이 건물은 1876년 병자수호조약으로 제물포항이 개항된 후, 인천에 거주하는 독일, 미국, 러시아, 일본 등 외국인이 1891년 사교구락부를 발족시킴으로써 건립되었다. 이 건물은 인천광역시의
인천민란 / 仁川民亂 [역사/근대사]
1893년 6월 14일 인천에서 일어난 민란. 개항장과 관련된 민란으로, 인천감리서의 각 청과 서례가(署隷家)가 파괴되고, 16명의 서례(署隷)가 구타당하여 중상을 입었다. 난의 주모자인 수리(首吏) 이인승을 유배하고, 그 밖에 많은 관련자를 유배하였다. 그리고 인천부
인천서원 / 仁川書院 [교육/교육]
경상남도 하동군 북천면 서황리에 있는 서원. 1710년(숙종 36)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최탁(崔濯)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오던 중 1869년(고종 6)에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훼철되어 서당으로 개편
인천시립무용단 / 仁川市立舞踊團 [예술·체육/무용]
1981년 인천지역 문화 창달과 한국 전통 무용의 계승발전을 위하여 창단된 인천광역시 산하의 시립무용단. 1981년 인천시민회관에서 「굴레야 굴레야」로 창단공연을 가진 이래 매년 2회의 정기공연 등 160여 회의 여러 가지 행사를 개최하여 지역문화 창달에 기여해 왔다.
인천지방산업단지 / 仁川地方産業團地 [지리/인문지리]
인천광역시 서구 가좌동과 남구 도화동에 있는 공업단지. 인천 제3공단으로도 불리며 인천 중심부에서 5㎞, 인천항 부두에서 6㎞거리에 입지하며 경인고속도로 인천인터체인지 주변일대에 새로운 공업단지의 제공으로 시내에 산재한 공장들의 재배치와 항도 기능을 확충하고자 조성되었
인천지하철 / 仁川地下鐵 [지리/인문지리]
인천광역시내에 건설된 도시 철도. 1993년도 7월에 1호선 기공식을 가져 1999년 10월 6일부터 운행하기 시작하였으며, 인천광역시의 교통문제 해결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지상에 집중되어 있는 교통량을 지하로 분산하여 도심의 교통혼잡을 완화하고 경인선으로 분리되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