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10,287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 권왕문 / 勸往文 [종교·철학/불교]

    조선후기 승려 동화축전이 「권왕가」·「자책가」·「서왕가」 3편을 수록하여 1908년에 간행한 불교서.불교가사집. 1권. 순 한글로 되어 있으며, 「권왕가(勸往歌)」·「자책가(自責歌)」·「서왕가(西往歌)」 등 세 편이 수록되어 있다.대체로 몽매한 중생심을 깨우쳐 불심(佛

  • 권용선전 / 權龍仙傳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책. 이 작품에서는 남녀 주인공이 천상인의 하강이라는 설정이 약화되었고, 주인공들의 비범한 행위보다는 일상적인 면모가 부각되고 있어서, 상당히 사실적인 경향을 갖추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사건 전개 자체에서 나오는 흥미보다는 주인공

  • 권우준 / 權遇準 [종교·철학/유학]

    1788년(정조 12)~1870년(고종 7). 아버지는 권약회, 어머니는 옥천김씨이다. 15,6세에 사서육경 등 서적에 통달하였다. 부모를 섬기는데 정성을 다하였으며, 거상 중에는 날마다 성묘하고 비바람이 불어도 멈추지 않았다. 재주는 총명하였고, 기운은 항상 온화하

  • 권운 / 權雲 [종교·철학/유학]

    1495~1519. 권수익의 아들로, 1516년(중종 11) 문과 급제, 수찬, 홍문관교리 등을 지냈으며, 호당에 올랐다. 향년 25세로 서울에서 죽었다.

  • 권원수실적 / 權元帥實蹟 [역사/조선시대사]

    조선시대 문신·명장 권율의 행적을 모아 엮은 전기. 1책. 필사본. 편자 미상이고, 편집 연대는 19세기 후반으로 보인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 때 도원수로서 크게 활약한 내용을 담고 있다. 여러 책에 나오는 묘지명·제문·사행(事行) 등을 모아놓았다.특히 왜

  • 권유 / 權愉 [종교·철학/유학]

    1633(인조 11)∼1704(숙종 30). 조선 후기의 문신. 목사 권훈의 손자이며, 승지 권형의 현손이다. 1665년 (현종 6)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 여러 벼슬을 거쳐 1689년(숙종 15) 기사환국으로 남인이 집권하자, 대사간·예문관대제학 등 요직을 맡았다.

  • 권유선 / 權有善 [종교·철학/유학]

    ?(중종)-?(선조). 아버지는 권평, 어머니는 김사검의 딸이다. 저자의 생평 자료는 8세손 권문혁까지는일부 남아 있었으나 미산정사와 고적이 1798년(정조 22) 화재로 모두 소실되어 증빙할 문헌이 거의 없다. 9세손 권석원의 가장과 용전 김철희의 묘갈명을 바탕으

  • 권응수 / 權應銖 [종교·철학/유학]

    1546(명종 1)∼1608(선조 41). 조선 중기의 의병장·무신. 아버지는 권덕신이다. 1583년 별시무과에 급제, 수의부위권지를 거쳐 훈련원부봉사로서 의주용만을 지켰으며,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고향에 돌아가 의병을 모집하여 궐기했다. 경상좌도병마절도사우후, 밀양부

  • 권응인 / 權應仁 [문학/한문학]

    조선 중기의 문인. 퇴계(退溪)이황(李滉)의 제자로 시문에 능하였다. 권응인은 서류 출신인 탓에 서얼금고(서얼 출신은 벼슬에 재한을 두는 것)에 얽혀 벼슬은 겨우 한리학관(漢吏學官)에 머물고 말았다. 당대의 명문장가이다. 권응인은 송대의 시풍이 유행하던 당시의 문단에

  • 권이복 / 權以復 [종교·철학/유학]

    1740년(영조 16)∼1819년(순조 19). 조선 후기 학자. 부친 성균관생원 권염과 모친 박이상의 딸 무안박씨 사이에서 3남 중 막내로 태어났다. 형 권이관·권이림이 있다. 대산 이상정의 문하에서 수학, 세상 명예와 이득에 뜻을 두지 않았다. 평생 학문의 기본을

페이지 / 1029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