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 조선 후기 총 6,844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 조선 후기
김정근 / 金禎根 [종교·철학/유학]
생몰년 미상. 조선 말기의 문신. 1895년 지방관제 개혁 때 강계부관찰사를 지냈다. 1898년 11월 경무사로 임명, 이상재·방한덕·남궁억·정교 등 독립협회 간부 17명을 체포하였다. 또한 독립협회 사무실을 수색하는 등 독립협회 탄압에 앞장섰다. 이후 독립협회로부터
김정묵 / 金正默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학자(1739∼1799). 김장생의 후손이다. 벼슬에 뜻을 두지 않고 학문에 힘쓰면서 후진양성에 전념하였다. 성리학 예설에 밝았으며 한원진의 논술이 이이·송시열에 위배됨을 지적하였다. 저서로는《과재유고》가 있다.
김정운 / 金鼎運 [종교·철학/유학]
1677년(숙종 3)∼1735년(영조 11). 조선 중기의 문신. 조부는 문정공 김경여, 부친은 청주진병마첨절제사를 지낸 통훈대부 김창석, 생부는 청주목사 김명석이다. 호조정랑을 거쳐 합천군수를 역임하였다. 이인좌의 난 때 반란군이 합천, 삼가 등지를 장악하자 의병을
김정집 / 金鼎集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808∼1859). 할아버지는 좌의정 사목, 아버지는 선공감부정 영수, 어머니는 조헌진의 딸이다. 1827년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한 뒤 한성판윤·에조판서 등을 역임하였다. 정조사의 서장관으로 청나라에 다녀왔다. 황해도관찰사로 재직 중 김대건 신부
김정호 / 金正浩 [지리/인문지리]
생몰년 미상. 조선 후기의 실학자 겸 지리학자. 당대의 실학자 최한기와 친교가 깊었고, 《대동여지도》의 재간과 《대동지지》의 간행연도가 모두 1864년(고종 1)인 것으로 보아 1800년경에서 1864년경까지 살았으며, 순조·헌종·철종대에 걸친 사람으로 추정된다.
김정희 / 金正喜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실학자·서화가(1786∼1856). 1819년 문과에 급제하여 성균관대사성·이조참판 등을 역임하였다. 학문에서는 실사구시를 주장하였고, 서예에서는 독특한 추사체를 대성시켰으며, 특히, 예서·행서에 새 경지를 이룩하였다. 저서에는《완당집》·《금석과안
김정희 영정 / 金正喜影幀 [예술·체육/회화]
이한철(李漢喆) 등이 김정희를 그린 영정. 1857년(철종 8)작. 비단바탕에 채색. 세로 131.5㎝, 가로 57.7㎝.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예산김정희종가유물(보물 제547호) 중의 하나이다. 오사모(烏紗帽, 沙帽)를 쓰고 쌍학문양(雙鶴文樣)의 흉배를 착용한 정장관
김정희 종가 유물 / 金正喜宗家遺物 [예술·체육/공예]
조선 말기의 선비이며 서화가였던 김정희의 일괄 유물. 보물 제547호. 이 유물들은 원래 충청남도 예산군 신암면 용궁리 김정희 종가인 김성기(金聲基)의 집에 소장되어 있었으나, 보존 관계상 국립중앙박물관에 기탁, 보관되어 있다. 김정희 종가 유물은 생전에 그가 지니던
김정희선생고택 / 金正喜先生故宅 [예술·체육/건축]
충청남도 예산군 신암면에 있는 조선후기 서예가이자 금석학자인 김정희 관련 주택.시도유형문화재. 2동(棟).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43호. 조선 후기 서예가이며 금석학자인 김정희의 고택으로, 증조부인이자 영조의 부마(駙馬) 김한신(金漢藎)에 의하여 건립되었다고 전한다.건
김정희선생유물 / 金正喜先生遺物 [언론·출판/출판]
충청남도 예산군 신안면 용궁리에 소장된 문서. 유물.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44호. 혼서지(婚書紙)·생원시권(生員試券)·농상지실(農祥之室)의 3점이 지정되어 있다. 혼서지는 김정희가 67세 때인 1852년(철종 3) 11월 21일에 쓴 것으로, 아들 상무(商懋)가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