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이휘부 풍기군수 해유문서 / 李彙溥 豊基郡守 解由文書 [정치·법제/법제·행정]

    해유문서. 1860년(철종 11) 11월 일에 후임관이 겸순찰사에게 올린 첩정이다. 이휘부(李彙溥)는 동순(同淳)의 아들이다. 1831년 사마시에 합격, 영릉참봉, 단성현감, 삼척부사, 풍기군수 등 역임. 1859년(철종 10) 10월 29일에 본직을 제수받고 동년 1

  • 이휘일 / 李徽逸 [종교·철학/유학]

    1619(광해군 11)∼1672(현종 13). 조선 후기의 학자. 시명 아들, 시성에게 입양, 어머니는 장흥효의 딸이다. 현일의 형이 된다. 일찍부터 정주의 성리학을 궁구하여 이회하지 못한 바가 없었으나, 병자호란을 겪고 나서는 성리학 공부를 중단하고 손자와 오자의 병

  • 이휘재 / 李彙載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95∼1875). 경산현령으로 있으면서 문회재를 창건하여 문풍을 진작시켰다. 안성군수와 청풍부사를 지냈다. 병인양요 때 임금의 부름을 받고 나가 많은 공을 세웠다. 호조참의·한성부우윤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는《운산문집》이 있다.

  • 이흘 / 李忔 [종교·철학/유학]

    1568(선조 1)∼1630(인조 8). 조선 중기의 문신. 은신 증손, 할아버지는 흥, 아버지는 천일, 어머니는 홍염의 딸이다. 1591년 식년 문과에 병과로 급제해 공조정랑, 배천군수, 장단부사, 종부시정을 역임하였다. 저서로는『관주일록』·『오계문집』이 있다.

  • 이흥민 / 李興敏 [종교·철학/유학]

    1809~1881. 조선 말기의 문신. 1864년(고종 1) 대사헌, 그해 7월 동의금부사를 지냈다. 1865년 홍문관제학,예문관제학, 사은 겸 동지정사(謝恩兼冬至正使)로 임명되어 청나라에 다녀왔다. 1867년 함경도관찰사에 제수되어 1870년 7월까지 재임하였다.1

  • 이흥민시장 / 李興敏諡狀 [정치·법제]

    조선후기의 문신 이흥민(李興敏)에 대해 시호를 추증하기 위해 1910년(융희 4) 8월 김학진(金鶴鎭)이 지어서 봉상시에 올린 시장. 이 시장의 찬자는 원임규장각대제학 김학진이며, 1910년 8월에 이흥민에게 '문정(文貞)'이라는 시호가 내려졌다.

  • 이흥수 / 李興秀 [종교·철학/대종교]

    1896년(고종 33)∼1973년. 대종교의 중진. 20세 때 노령블라디보스토크의 동양학원에서 수학하였다. 그뒤 국내에서 경성고무주식회사·고려금속주식회사 등을 설립하여 공업과 산업계의 중진으로 크게 활약, 1946년 6월 재단법인 홍익학원의 재단이사장에 취임하여 홍익

  • 이희겸 / 李喜謙 [문학/구비문학]

    조선후기 양덕현감을 역임한 문신. 그의 본관에 대해 홍직필(洪直弼)은 청양(靑陽)이라 하였으나 『국조방목』에는 함평으로 나타난 것으로 보아, 아마도 후자가 맞을 듯하다. 일생에 대하여는 자세히 알려진 바가 없지만, 진사로서 1739년(영조 15) 알성갑과에 급제하였으며

  • 이희경 / 李熙絅 [종교·철학/유학]

    1804년(순조 4)∼1866년(고종 3). 조선 후기의 무신. 이윤성 손자, 이경식의 아들이다. 선전관에 취임한 뒤 1826년(순조 26) 무과에 급제하였다. 그뒤 어영대장·총융사·금위대장 등을 역임하였다. 1851년 좌변포도대장이, 금위대장, 공조판서 겸 지의금부사

  • 이희발 / 李羲發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68∼1849). 정동필의 문인, 1795년 식년 문과에 병과로 급제한 뒤 규장각의 초계문신으로 발탁, 그 뒤 승진하여 순조 때 대사간을 지내고 헌종 초기에는 승지가 되었다. 병조참판·지중추부사를 거쳐 기로소에 들어갔다가, 1849년에는 형조판서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