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10,287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 권수붕 / 權壽鵬 [종교·철학/유학]

    1680년(숙종 6)∼1752년(영조 28). 조선 후기 유학자·시인. 증조부는 우천 권극유, 조부는 취도헌 권익, 아버지는 권처형이다. 어머니는 충의위 이번국의 딸 성주이씨, 부인은 곽수성의 딸 현풍곽씨이다. 평생 학문에만 전념하였고 과거에는 뜻을 두지 않았다. 저

  • 권시 / 權諰 [종교·철학/유학]

    1604(선조 37)∼1672(현종 13).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아버지는 좌랑 권득기, 어머니는 전주이씨로 도정 첨의 딸이다. 1649년 효종 즉위 뒤 공조좌랑에 임명되어 처음으로 벼슬길에 나갔으며, 경상도사 등을 역임하고, 그 뒤 집의·진선 등을 거쳐 1658년

  • 권실교보살유혹도생지의 / 權實敎菩薩留惑度生之義 [종교·철학/불교]

    조선후기 승려 인담이 대승보살이 번뇌를 남기고 중생을 제도하는 의의에대하여 논한 불교서. 권실교보살유혹도생지의(權實敎菩薩留惑度生之義)』는 ‘권교(權敎)와 실교(實敎)의 보살이 미혹을 남겨서 중생을 제도하는 것에 대한 논의’라는 뜻이다. 권교란 ‘방편적인 가르침’을 말하

  • 권실보아라 [문학/고전시가]

    작자·연대 미상의 규방가사. 국문필사본. 2음보 1구로 계산하여 전체 221구이다. 음수율은 3·4조와 4·4조 주축에, 4·5조, 5·4조, 2·4조, 4·3조 등도 보인다. 내용은 하나뿐인 딸을 가까운 곳으로 출가시켰으나 얼마 되지 않아 시댁이 만리타향 먼 곳으로

  • 권양 / 權讓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688∼1758). 1716년(숙종 42) 문과에 급제하여 정언·헌납·병조좌랑·장령 등을 두루 지냈다. 또한, 외직으로 무장·함양·한산 등지를 다니며 백성을 지성으로 다스려 칭송이 높았다.

  • 권연하 / 權璉夏 [종교·철학/유학]

    1813년(순조 13)∼1896년(고종 33). 조선 말기의 문신·학자. 유치명의 문하에서 수학, 평생동안 학문연구와 후학양성에 전념하였다. 1879년에 경학으로 천거되어 선공감역을 제수받았다. 1881년 스승의 문집인 《정재문집》을 교감, 1882년 수직으로 돈령부

  • 권영 / 權塋 [종교·철학/유학]

    1678(숙종 4)∼? 조선 후기의 문신. 한성부서윤 권성원 증손, 할아버지는 장령 권격, 아버지는 권상명, 어머니는 좌의정 이세백의 딸이다. 1732년(영조 8)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승지, 사직을 역임하였다.

  • 권오복 / 權五福 [종교·철학/유학]

    1467(세조 13)∼1498(연산군 4). 조선 전기의 문신. 할아버지는 권유손, 아버지는 별좌 권선, 어머니는 이조판서 이계전의 딸이다.김종직의 문하생으로 당시의 청류와 교분이 넓었고, 특히 김일손과는 막역한 사이였다.무오사화가 일어나자 향리에서 잡혀 올라와 같은

  • 권옹집 / 倦翁集 [종교·철학/유학]

    조선전기 학자 유빈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02년에 간행한 시문집. 2권 1책. 활자본. 1902년 그의 후손 하영(夏榮)이 편집, 간행하였으며, 권두에 이만좌(李晩佐)의 서문과 권말에 편자의 발문이 있다. 권1에 연보·부·논·유서·문·기·서(序) 외에 「역도 易圖」

  • 권왕가 / 勸往歌 [문학/고전시가]

    승려 동화(東化, 일명 東華)가 지은 연대 미상의 불교가사. 2음보 1행으로 헤아려 1,200행이나 되는 장편가사로, 국한문혼용체이다. 주제는 중생들이 보고 아는 것이 서로 차별이 있으니 미타불을 염송하여 극락으로 왕생하라고 권한 것이다. 주요내용을 보면, 중생이 사는

페이지 / 1029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