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근대 총 3,894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근대
별순검 / 別巡檢 [역사/근대사]
조선 말기 내부의 경무청 또는 경위원에 소속하여 비밀정탐에 종사하던 관직. 황궁숙위 및 경찰임무를 수행하는 경리를 순검, 그 중 특별히 제복을 입지 않고 비밀정탐에 종사하는 자라 하여 별순검이라 한다. 경무청관제에 따르면, 최고 우두머리인 경무사가 내부대신의 지휘감독에
별승자총통 / 別勝字銃筒 [과학기술/과학기술]
1892년에 제작된 청동제 유통식 화기(火器). 총길이 76.2㎝, 통신(筒身) 길이 51㎝, 약실 길이 5.7㎝, 병부 길이 9.5㎝, 포구 지름 1.6㎝. 통신에는 구연대(口緣帶)를 제외하고 7조의 죽절(竹節)이 시조(施條)되었고, 약실은 통신보다 약간 도톰한 편이
병세집 / 幷世集 [문학/한문학]
조선 말기에 활약한 문인들의 시를 선별하여 수록한 책. 1책. 활자본. 1910년 원세순(元世洵)이 편집하고 간행하였다. 『병세집』 권두에 편자의 소인(小引)이 있다. 권상에 송근수(宋近洙)·정원용(鄭元容)·조두순(趙斗淳)·김좌근(金左根)·기정진(奇正鎭)·김병학(金炳學
병원 / 病院 [과학기술/의약학]
근대의료시설. 검사와 치료를 위해서 일정한 공간과 전문적인 설비를 갖추어 검사와 진찰, 치료하는 곳이다.
병인박해 / 丙寅迫害 [종교·철학/천주교]
1866년부터 1873년 사이 천주교에 대한 대박해. 이 박해는 네 차례에 걸쳐서 행해졌는데, 대원군의 주도로 진행되었다. 대원군은 원래 천주교에 대해 긍정적인 입장이었으나, 러시아의 남하정책 때문에 박해하게 되었다. 병인박해 순교자들에 대해 기록한 자료로는 뮈텔(Mu
병인양난록 / 丙寅洋亂錄 [문학/고전산문]
조선 후기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수기. 1866년(고종 3) 병인양요를 직접 겪은 한 여인의 수기이다. 표지에는 ‘병인양난녹’으로 되어 있으나, 원표제는 ‘병인년양난시가사라’이다. ‘병인년십이월긔’라는 날짜가 있고, ‘慶州金氏之所著也(경주김씨지소저야)’라고 뒷면에 적혀
병인양요 / 丙寅洋擾 [역사/근대사]
1866년 흥선대원군의 천주교 탄압에 대한 보복으로 프랑스군이 침입한 사건. 1866년 초에 대원군은 천주교 금압령(禁壓令)을 내려 프랑스신부와 조선인 천주교신자 수 천 명을 학살하였다. 프랑스선교사는 12명 중 9명이 잡혀 처형 3명만이 화를 면했다. 이 중, 리델(
병촉재집 / 炳燭齋集 [종교·철학/유학]
정지집의 문집. 목활자본, 서: 권상익(1924), 4권 2책. 후손인 정원국과 방손 정건모가 성재 권상익에게 교정과 서문을 요청하여, 1925년에 간행하였다. 권1은 시, 권2는 시와 서, 권3은 서와 잡저와 서와 발과 명과 상량문과 축문, 권4는 제문, 묘갈명, 유
병합기념조선사진첩 / 倂合記念朝鮮寫眞帖 [언론·출판/출판]
자부(子部) - 예술류(藝術類) 조선총독부 편, 사진판본, 신반도사, 불분권 1책(84장). 1910년 경술국치(庚戌國恥) 후에 만든 사진첩으로 보인다. 일본황제, 이완용 등의 인물과 조선의 풍경 등을 담은 사진첩과 그림첩이다. 19세기 말엽 이후의 사진 자료이다.
보건운동 / 保健運動 [예술·체육/체육]
1932년 보건운동사에서 보건·위생에 관한 과학적 연구와 보건·위생 사상의 보급 등을 목적으로 창간한 잡지.보건전문월간지. 1932년 2월 1일 양봉근(楊奉根)이 편집 및 발행을 맡아 보건운동사(保健運動社)에서 창간하였다. 보건·위생에 관한 과학적 연구와 보건·위생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