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정치·법제 2,798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정치·법제
  • 여서창 / 黎庶昌 [정치·법제/외교]

    1837-1896. 중국 청말 외교관. 1863년 안휘군계소에서 증국번의 막료로 일하였다. 1876년 흠차대신 곽숭도를 따라 영국에 출사하여 영국, 프랑스, 독일, 스페인 4개국 참찬으로 근무하였다. 1881년부터 1884년까지 주일공사로 재직하였고, 1887년에서 1

  • 여수 / 旅帥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5위 부대조직의 하나인 여의 책임 관직. 5위 진법 체제의 바탕인 군사조직의 기간은 졸-오-대-여의 조직이었다. 즉, 가장 말단의 단위조직인 오는 군사 5명을 단위로 하였고, 다시 1대는 5오로, 5대는 1여로 하였으니 이 같은 5진법의 편성원칙에 따르면 1

  • 여순반란사건 / 麗順叛亂事件 [정치·법제/정치]

    1948년 10월 20일 전남 여수에 주둔중이던 국군 제14연대에서 일어난 반란사건. 1948년 4월 3일 제주도에서 남한단독정부 수립을 반대하는 무장봉기가 발생, 정부는 여수 주둔 제14연대를 제주도에 급파하기로 했다. 이에 지창수, 김지희 등 좌익계 군인들을 중심으

  • 여신대위 / 勵信隊尉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서반 토관계 종6품의 위호. 해당관직은 부여과로, 여흥부의 진북위, 평양부의 진서위, 영변대도호부의 진변위, 경성도호부의 진봉위 등에 각각 2인씩, 의주목의 진강위, 회령·경원 도호부의 회원위, 종성·온성·부령·경흥 도호부의 유원위, 강계도호부의 진포위 등에

  • 여용 / 勵勇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서반 정9품 토관직. 1438년(세종 20) 사용이라는 직명으로 처음 설치되었다가 1462년(세조 8)에 여용으로 개칭된 것이다. 정원은 평양부의 진서위에 5인, 영변대도호부의 진변위에 4인, 경성도호부의 진봉위에 4인, 의주목의 진강위에 4인, 회령·경원의

  • 여절교위 / 勵節校尉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무신 종6품 상계의 품계. 조선이 건국된 직후인 1392년(태조 1) 7월 종6품 무산계의 상계는 승의교위, 하계는 수의교위로 정하였다. 그런데 무산계의 승의교위는 뒤에 여절교위로, 수의교위는 병절교위로 개칭되어 ≪경국대전≫에 수록되었다.

  • 여정 / 勵正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서반 정7품 토관직. 원래 사정(司正)이라 하였으나, 1462년(세조 8)에 여정으로 개칭된 것이다. 이는 평양부의 진서위에 3인, 영흥부의 진북위에 2인, 영변대도호부의 진변위에 2인, 경성도호부의 진봉위에 2인, 의주목의 진강위에 1인, 회령·경원의 회원

  • 여직 / 勵直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서반 정5품의 토관직. 영흥부의 진북위에 1인, 평양부의 진서위에 1인, 영변대도호부의 진변위에 1인, 경성도호부의 진봉위에 1인을 각각 두었다. 세종 16년에 사직(司直)으로 개칭되었다가, 이후에 여직(勵直)으로 변경되었다.

  • 여충대위 / 勵忠隊尉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서반 토관계 종5품의 위호. 토관계는 고려의 향직 계통의 관계로서 문무관계와는 별도의 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토관직에는 본도 사람을 동반은 관찰사가, 서반은 절도사가 임명하였다. 이 관계에 해당되는 관직은 부여직으로, 여흥부의 진북위, 평양부의 진서위, 영변

  • 역과 / 譯科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통역관을 선발하는 잡과 시험. 한학·몽학·여진학·왜학 등의 4개 분야로 구분. 한학은 대명외교의 중요성 때문에 조선 초기부터 실시, 몽학은 1419년, 왜학은 1441년, 여진학은 1451년부터 실시되었다. 역과는 잡과와 마찬가지로 식년시와 증광시에만 설행되

페이지 / 280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