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이효독 / 李孝篤 [종교·철학/유학]
생몰년 미상. 조선 중기의 문신. 백찬 증손, 할아버지는 승충, 아버지는 봉손, 어머니는 홍이용의 딸이다. 1483년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 성균관학유, 예문관검열·승정원주서를 거쳐, 세자시강원사서·병조좌랑·사헌부지평·호조정랑·병조정랑 등을 역임하였다.
이효성증직교지 / 李孝性贈職敎旨 [정치·법제]
1755년(영조 31) 12월 26일. 충의위 이효성을 숭정대부 의정부우찬성 겸 판의금부사 세자이사 오위도총부도총관에 증직하는 교지. 이 교지는 인빈김씨가 인조의 아버지인 정원군을 출산한 공로를 표창하며 행해진 것으로 보인다.
이효장 / 李孝長 [종교·철학/유학]
?∼1463(세조 9). 조선 전기의 문신. 할아버지는 정간, 아버지는 사관, 어머니는 한상경의 딸이다. 아버지의 음덕으로 벼슬길에 올라, 1447년(세종 29) 오위사용으로서 식년문과에 정과로 급제, 예문관대교, 이조참의, 호조참의, 경상도관찰사 등을 역임하였다.
이후 / 李垕 [종교·철학/유학]
1611(광해군 3)∼1668(현종 9). 조선 후기의 문신. 종린 증손, 할아버지는 수, 아버지는 형윤, 어머니는 최행의 딸이다. 1644년(인조 22) 정시문과에 을과로 급제, 검열을 거쳐 1650년(효종 1) 지평으로 춘추관기주관이 되어『인조실록』의 편찬에 참여하
이후경 / 李厚慶 [종교·철학/유학]
1558(명종 13)∼1630(인조 8). 조선 중기의 학자. 아버지는 엄, 어머니는 박광의의 딸이다. 정구에게서 수학하였다. 광해군 때 이시발·김우옹의 천거로 세자익위사세마에 임명되었으나 사퇴하였다. 1627년(인조 5) 정묘호란이 일어나자 그 해 가을 강화도에 왕을
이후배 / 李厚培 [종교·철학/유학]
1594년(선조 27) - 1651년(효종 2) 조선 후기 문신. 이여 후손, 증조는 이한, 조부는 이인건, 부친은 이욱이다. 외조부는 황정욱이다. 형은 이후원이다. 관직은 양지현감‧안성군수 등을 역임하였다. 슬하에 4남 4녀를 두었는데, 아들은 이적‧이두익‧이두명‧이
이후원 / 李厚源 [종교·철학/유학]
1598(선조 31)∼1660(현종 1). 조선 중기의 문신. 광평대군 7세손, 한 증손, 할아버지는 인건, 아버지는 욱, 어머니는 황정욱의 딸이다. 김장생의 문인이다. 김집·조속·송준길 등과 교류하였다. 태인현감, 병조참지, 충청도관찰사, 대사헌, 형조참판, 예조판
이휘 / 李暉 [종교·철학/유학]
1655(효종 6)∼1723(경종 3). 조선 후기의 무신. 아버지는 정준, 어머니는 이희재의 딸이다. 작은아버지 세화에게 수학하였다. 무과급제, 선전관을 거쳐 비변사낭관·사재감첨정·평안도절제사·금군장·방어사를 지냈고, 해남현감 및 덕원·곡산·회령 등의 부사와 옥천군수
이휘령 / 李彙寧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1788∼1861). 이황의 10대손이다. 1816년(순조 16) 진사시에 합격하여 1821년 동몽교관에 임명되고, 이후 의금부도사·청주목사 등을 역임했다. 〈십도집설〉과 〈방경무도사〉를 지었으며, 저서로《고계집》이 있다.
이휘부 삼척도호부사 해유문서 / 李彙溥 三陟都護府使 解由文書 [정치·법제/법제·행정]
해유문서. 1859년(철종 10) 9월 초5일에 후임관이 겸순찰사에게 첩정, 동년 9월 초8일에 강원도관찰사겸순찰사가 호조에 문서 이관, 1862년(철종 13) 3월 일에 호조에서 이조로 문서 이관, 동년 3월 19일에 이조에서 이휘부(李彙溥)에게 조흘하였다. 18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