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이홍직 / 李弘稷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05∼1796). 이원명 증손, 할아버지는 이대순, 아버지는 이준림, 어머니는 유핵의 딸이다. 사간 때 전 군수 윤광소가 재직 중 농사철에 벌인 토목공사와 권세가에게 바친 뇌물 그리고 할머니를 유기한 불효를 들어 탄핵시키는 등 지방관원들의 잘못을

  • 이화대훈장 / 李花大勳章 [역사/근대사]

    1900년 4월 칙령 제13호로 제정된 훈장. 훈등은 대훈위에 속하고 무등이며 태극장 위에 있어, 문무관 중 태극1등장을 받은 자가 특별한 공을 세웠을 때 황제의 특지로 수여하였다. 패용시 정장이 오른쪽 어깨에서 왼쪽 옆구리로 드리우게 되어 있는 데 반하여, 부장은 왼

  • 이화령 / 梨花嶺 [지리/자연지리]

    경상북도 문경시 문경읍과 충청북도 괴산군 연풍면 사이에 있는 고개. 이화령의 높이는 548m이고, 소백산맥의 조령산(鳥嶺山, 1,017m)과 갈미봉(葛味峰, 783m)과의 안부(鞍部)에 위치한다. 동쪽사면은 조령천(鳥嶺川)의 곡구(谷口)인 진안리에서 서쪽으로 분기하는

  • 이화몽 / 梨花夢 [문학/고전산문]

    지송욱(池松旭)이 지은 신소설. 국문필사본. 1914년 신구서림(新舊書林)에서 발행하였다. 이 작품은 줄거리에서 알 수 있듯이 고전소설 「춘향전」과 아주 흡사하다. 인물설정에서 여주인공 이화가 퇴기인 점이나 이화의 시련이 사또 형의 수절을 거부한 데서 비롯되는 것, 원

  • 이화전 / 李華傳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권 1책. 국문 필사본. 이 작품은 전반에서는 우리나라를 배경으로 하고, 후반에서는 중국을 배경으로 하였다는 점과 임진왜란 당시의 현실 세계를 소재로 하였다는 점이 특색이다. 그러나 작품내용이 시종일관 황당무계한 요귀의 퇴치로 사실성(寫

  • 이화정서전 / 梨花征西傳 [문학/고전산문]

    작가·연대 미상의 고전번역소설. 1책. 국문활자본. 90회로 이루어진 중국소설 「설정산정서(薛丁山征西)」의 제45회 ‘번리화등대배사 설정산봉지완혼(樊梨花登臺拜師 薛丁山奉旨完婚)’에서부터 제69회 ‘번왕납관조천자 반사득승회장안(番王納款朝天子 班師得勝回長安)’까지를 번역

  • 이환 / 李煥 [종교·철학/유학]

    1582년(선조 15)∼1661년(현종 2). 조선 중기 유학자. 증조는 이태, 조부는 이원충이다. 부친 이윤수와 모친 유중영의 딸사이에서 6남 2녀 중 4남으로 태어났다. 서애 유성룡에게서 학문을 익혔다. 만년에 목릉참봉에 제수되었을 때에는 서울에 올라가서 임금의 은

  • 이황 / 李滉 [종교·철학/유학]

    1501-1570. 조선 중종대의 유학자. 1534년부터 벼슬길에 들어섰으나 대부분의 임명을 신병이나 노쇠, 재질부족 등의 이유를 들어사퇴하였다. 59세때 기대승과 사칠논변을 벌였고 68세때 <성학십도>를 지었다. 그는 성리학을 한국적으로 체계화시킴으로써 이후의 조선

  • 이회영 / 李會榮 [정치·법제/정치]

    항일기의 독립운동가(1867∼1932). 안창호·이동녕 등과 함께 신민회를 조직하고, 서전서숙과 신흥강습소 등을 설립하였다. 무정부주의운동을 벌이기도 하였고, 후에 항일구국연맹의 의장을 맡기도 했다.

  • 이효 / 李曉 [예술·체육/체육]

    해방 이후 대한올림픽위원회 위원장, 서울올림픽경기대회 준비위원 등을 역임한 체육인. 1912∼1994. 만주(滿洲) 출생. 1939년 만주 신경법정대학(新經法政大學) 경제학부를 졸업하였다. 천성이 스포츠를 좋아한데다 학생 시절부터 야구를 즐겨하였고, 만주에서 직장 생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