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이형부인동래정씨의복 / 李泂夫人東萊鄭氏衣服 [생활/의생활]

    1941년 경기도 시흥시 염불암 옆에 있던 이형(李泂)의 부인 동래정씨(?∼1583) 묘를 이장할 때 출토된 16세기의 복식유물 6점. 출토된 복식유물은 6점(실제 5점)인데 명주솜누비장옷 1점, 명주솜누비치마 2점, 무명솜누비치마 1점, 바지 1점이다. 바지는 본래

  • 이형상 / 李衡祥 [종교·철학/유학]

    1653(효종 4)∼1733(영조 9). 조선 후기의 문신. 효령대군의 10대손, 사민 증손, 할아버지는 장형, 아버지는 주하이다. 1680년(숙종 6) 별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호조좌랑, 성주목사, 동래부사, 제주목사, 영광군수, 경주부윤 등을 역임하였다.

  • 이형욱 / 李馨郁 [종교·철학/유학]

    1551(명종 6)∼1630(인조 8). 조선 중기의 문신. 환 증손, 할아버지는 희석, 아버지는 홍, 어머니는 권습의 딸이다. 1594년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이조정랑, 홍문관수찬, 전주부윤 등을 역임하였다.

  • 이형진 / 李衡鎭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1676∼1757). 1721년(경종 1) 생원시 합격 후 영릉참봉·의영고봉사·정읍현감·공조좌랑·어모장군·돈령부도정 등을 거쳐 동지중추부사에 이르렀다.

  • 이혜 / 李嵇 [종교·철학/유학]

    1635(인조 13)∼1715(숙종41). 조선 후기의 문신. 원필 증손, 할아버지는 통, 아버지는 경증, 어머니는 이규의 딸이다. 1660년(현종 1) 증광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이듬해 봉교로 임명되었다. 이조좌랑, 동부승지, 우승지, 예조참의 등을 역임하였다.

  • 이혜동진설화 / 二惠同塵說話 [문학/구비문학]

    신라시대의 승려 혜숙(惠宿)과 혜공(惠空)에 관련된 불교설화. 『삼국유사』 권4 이혜동진조에 실려 있다. 안강현(安康縣) 혜숙사(惠宿寺)의 연기전설로, 혜숙은 살육을 싫어하여 불도를 닦아 여러 가지 이적(異蹟)을 남겼다. 혜공은 고용살이하는 노파의 아들(아명은 憂助)이

  • 이호민 / 李好閔 [종교·철학/유학]

    ?∼1823(순조 23). 조선 후기의 문신. 만웅의 5대손이다. 1804년(순조 4) 통정대부, 이듬해 대사간·참의를 거쳐 3년 후 황해도감사가 되었다. 1809년 이조참판·대사간을 역임하였다. 1815년 가선대부가 되고, 한성부판윤, 다시 의정부좌참찬·이조참판·대사

  • 이홍장 / 李鴻章 [정치·법제/외교]

    1823- 1901. 중국 청말의 정치가. 안후이성[安徽省] 출생. 청말 주요 외교문제를 장악, 이이제이(以夷制夷)로 열강들을 서로 견제시키면서, 양보·타협정책을 취했다. 시모노세키조약에 조인했고, 청·러밀약, 베이징조약 등에 관여했다. 근대공업 진흥을 위해 노력했다

  • 이홍전 / 李泓傳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에 이옥(李鈺)이 지은 한문 전(傳). 작자의 생애 후반기에 창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필사본으로 김려(金鑢)가 찬한 『담정총서(藫庭叢書)』 권12 「도화유수관소고(桃花流水館小稿)」에 실려 있다. 「이홍전」은 서울에 사는 사기꾼 이홍의 사기행각을 삽화식으로 구성

  • 이홍준 / 李弘準 [종교·철학/유학]

    생졸년 미상. 부친은 이시민, 형은 이종준이다. 1486년(성종 17) 진사시에 합격, 후진교육에 힘썼다. 1498년(연산군 4) 무오사화가 일어나 중형이 화를 당한 후 가족과 함께 영천의 두암에 은거하였다. 1652년(효종 3) 백록리사에 제향되었다. 저술로 그의 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