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이항 / 李杭 [종교·철학/유학]
?∼1701(숙종 27). 조선 후기의 종실. 할아버지는 인조, 아버지는 징이다. 1687년 혜민서제조가 되었고, 같은해 동지사로 청나라에 다녀왔다. 그 뒤 1689년에 주청사로 다시 청나라에 다녀왔다. 혜민서제조문제로 여러 차례 남구만 등의 규탄을 받았으나 그를 총애
이항로 / 李恒老 [역사/조선시대사]
조선 후기의 성리학자(1792∼1868). 과거를 포기하고 성리학 연구에 전념하였으며 주리철학의 대가이다. 조정에 천거되어 동부승지·공조참판·경연관 등을 역임하였고 병인양요가 일어났을 때 주전론을 펼쳤다. 저서로 《화서집》, 《벽계아언》 등이 있다.
이항배 / 李恒培 [종교·철학/유학]
1683년(숙종 9)∼1736년(영조 12). 증조는 숭언, 조부는 원의, 부친은 명익이다. 어머니는 김면의 딸이다. 생부는 태익, 생모는 김종미의 딸이다. 19세가 되던 1701년(숙종 27)부터 여러차례 향시에 응하여 합격, 1714년(숙종 40) 상상에 올랐으
이항복 / 李恒福 [종교·철학/유학]
1556(명종 11)∼1618(광해군 10). 조선 중기의 문신. 제현 후손, 성무 증손, 할아버지는 예신, 아버지는 몽량, 어머니는 최윤의 딸이다. 1580년(선조 13) 알성 문과에 병과로 급제해 승문원부정자, 예문관봉교, 이조좌랑, 이조참판, 의정부우참찬, 병조
이해 / 李瀣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학자(1691∼1779). 이여 후손, 이건명·권상하의 문인이다. 숙종 때 청주에서 도내별과에 제4등으로 뽑힌 이후,《소학》을 근본으로 정성과 공경, 사물의 이치와 인간의 본성을 깊이 연구하여 학문과 덕행을 쌓았다. 문장은 경서와 사기에 기본을 두어,
이해룡전 / 李海龍傳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권 1책. 한글필사본·목판본·활자본. 20여종의 필사본과 2종의 목판본, 5종의 활자본이 있다. 활자본의 경우, 1926년 회동서관(滙東書館)에서 간행한 『육효자전(六孝子傳)』의 제2회에 실려 있는 것과, 1916년에 광동서국(光東書局)·
이해조 / 李海朝 [종교·철학/유학]
1660(현종 1)∼1711(숙종 37). 조선 후기의 학자. 일상 아들이다. 1681년(숙종 7) 사마시에 합격, 1689년 인현왕후가 폐위되자 벼슬을 단념하였다가 1694년 왕후가 복위된 뒤에 빙고별검이 되었다. 이어서 공조·호조낭관을 거쳐 전주통판을 지내다가 17
이해조 / 李海朝 [문학]
항일기의 신소설작가(1869∼1927). 어려서 한문 공부를 하여 진사 시험에도 합격했으나 신학문에 관심을 두어 고향인 포천에 청성제일학교를 설립하였다. 1906년 잡지 《소년한반도》에 소설〈잠상태〉를 연재하면서 본격적인 문학 활동을 시작했다. 한때 《매일신보》등의
이해창 / 李海昌 [종교·철학/유학]
1599(선조 32)∼1651(효종 2). 조선 중기의 문신. 임 증손, 할아버지는 규, 아버지는 인후, 어머니는 신영의 딸이다. 임숙영의 문인이다. 1630년에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수찬, 교리, 헌납, 이조정랑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는『송파집』이 있다.
이행 / 李荇 [종교·철학/유학]
1478(성종 9)∼1534(중종 29). 조선 중기의 문신. 명신의 증손, 할아버지는 추, 아버지는 의무, 어머니는 창녕 성씨이다. 1495년(연산군 1) 증광 문과에 병과로 급제, 권지승문원부정자, 예문관 검열·봉교, 성균관전적을 역임, ≪성종실록≫ 편찬에 참여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