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이하진 / 李夏鎭 [종교·철학/유학]

    1628(인조 6)∼1682(숙종 8). 조선 후기의 문신. 우인의 증손, 할아버지는 상의, 아버지는 지안, 어머니는 이석령의 딸이다. 실학자 이익의 아버지이다. 1666년 식년문과에 갑과로 급제, 이듬해 가주서·사옹원직장·전적, 예조좌랑·병조좌랑, 도승지, 대사헌 등

  • 이학규 / 李學逵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인(1770∼1835). 아버지는 이응훈, 어머니는 이용휴의 딸이다. 정조의 인정을 받았으나 신유사옥에 연루되어 유배된 뒤 문필에 전념하였다. 실학적 사고를 기반으로 하였으며 신위 및 정약용과 시문을 통해 교유하였다. 저서로《낙하생전집》3권이 전한다.

  • 이학균 / 李學均 [종교·철학]

    생몰년 미상. 조선 말기의 무신. 1898년 민비 인산 때에는 각국 공사 반접관이 되었으며 1900년 부령과 참장으로 승진, 원수부검사국장·회계국장서리·육군법원장을 역임하였다. 1904년 러일전쟁이 임박하여 위협을 받자, 프랑스공사관으로 피신하였다가 미국인의 보호로 미

  • 이학균대급문 / 李學均貸給文 [정치·법제]

    1905년 12월 9일에 이학균(李學均)에게 1년 기한으로 지화 2만 원을 빌려주는 것을 승인한 문서. 문서에 찍힌 스템프에는 'CONSULAT GENERAL DE FRANCE'라는 글씨가 새겨져 있다. 이학균은 조선 말기의 무신으로 1904년 프랑스 공사관으로 피신했

  • 이한걸 / 李漢杰 [종교·철학/유학]

    1880년(고종 17)∼1951년. 일제 강점기 유학자. 부친은 이혁연, 동생은 이명걸이다. 이병호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퇴계학·성리학·도학에 전념하였다. 1910년(융희 4) 경술국치 이후 일본의 모든 행위를 거부, 사립학교를 건립하고 구학문과 신학문을 병행하여

  • 이한림전 / 李翰林傳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권 1책. 국문필사본. 유일본으로 정묘년에 필사되었다. 이 작품은 다시 「환춘전」으로 내용이 이어진다. 임진왜란을 배경으로 하여 주인공과 그 일족이 왜적으로 인한 고난을 극복하는 내용을 그린 작품이다. 고전소설로서는 드물게 우리나라와 임진

  • 이한림집주 / 李翰林集注 [문학/한문학]

    고려전기 문인 최유청이 이백의 문집을 풀이한 주석서. 『이한림집주(李翰林集註)』는 최유청이 왕명을 받들어 당(唐)나라 시인 이백(701~762)의 문집을 주해한 책이다. 이백이 당 현종 때 한림학사(翰林學士)를 지냈으므로 문집명에 ‘한림’이라 붙인 것이다. 『이한림집주

  • 이한응 / 李漢膺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학자(1778∼1864). 서예와 시문에 탁월한 솜씨를 보였으며, 만년에 제자 양성에 주력했다. 헌종 때 추천으로 가감역에 올랐고, 철종 때 통정대부로 첨지중추부사가 되었으며 돈녕부도정을 지냈다. 저서로《경암집》13권이 있다.

  • 이한호 / 李漢浩 [예술·체육/체육]

    해방 이후 서독총영사, 경제사절단장 등을 역임한 관료.체육인. 1895(고종 32)∼1960. 함경남도 원산 출생. 경신(擏新)고등보통학교를 거쳐 스위스의 취리히대학을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경제학박사학위를 받았다. 평소 신체건강과 호신의 목적으로 유도기술을 습득하여 취

  • 이항 / 李恒 [종교·철학/유학]

    1499(연산군 5)∼1576(선조 9). 조선 중기의 문신·학자. 아버지는 이자영, 어머니는 최인우의 딸이다. 박영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백인걸은 이항의 학문이 조식에게 비길만하다고 칭찬하였다. 당시의 대학자인 기대승·김인후·노수신 등과 교유하면서 학문의 질을 높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