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지명 > 자연 지명 981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지명 > 자연 지명
  • 당사도 / 唐沙島 [지리/자연지리]

    전라남도 신안군 암태면 당사리에 있는 섬. 2009년 기준으로 인구는 201명(남 103명, 여 98명)이고, 세대수는 95세대이다. 취락은 섬의 남쪽에 집중해 있다. 토지이용 현황은 논 0.21㎢, 밭 0.35㎢, 임야 3.25㎢이다. 농산물은 보리·고구마·쌀·콩과

  • 대각봉 / 大角峯 [지리/자연지리]

    양강도 백암군 양흥노동자구 소재지의 서쪽 운흥면 영하노동자구와의 경계에 있는 봉우리. 대각봉의 높이는 해발 2,121m로, 마천령산맥의 중앙에 솟아 있다. 산의 모양은 사슴뿔처럼 생겼다. 대각봉의 남서쪽 비탈면에서는 압록강의 제2지류인 운총강이 발원하여 혜산시 신장리에

  • 대각산 / 大角山 [지리/자연지리]

    황해도 곡산군 곡산면·서촌면·화촌면에 걸쳐 있는 산. 높이 1,277m. 언진산맥(彦眞山脈)에 속하며, 서쪽의 언진산(1,120m)과 마주보고 있다. 예성강과 남강(南江)의 발원지로서, 양대 하천의 분수계를 이룬다. 서쪽 사면은 예성강에 의하여 형성된 깊은 협곡이 많아

  • 대간령 / 大間嶺 [지리/자연지리]

    강원도 인제군 북면과 고성군 간성읍 토성면 사이에 있는 고개. 높이는 641m로, 태백산맥의 지맥인 설악산맥의 북단에 있는 신선봉(神仙峰, 1,183m)과 마산(馬山, 1,052m) 사이의 안부(鞍部)이다. 한계리에서 속초를 연결하는 국도 46호선이 개통됨에 따라 서쪽

  • 대경도 / 大鏡島 [지리/자연지리]

    전라남도 여수시 월호동에 있는 섬. 2009년 기준으로 인구는 1,107명(남 598명, 여 509명)이 거주하고 있으며, 세대수는 396세대이다. 취락은 선착장이 있는 섬 북쪽의 외동마을과 중앙의 내동마을에 집중되어 있다. 토지이용 현황은 논 0.11㎢, 밭 0.87

  • 대관령 / 大關嶺 [지리/자연지리]

    강원도 강릉시 성산면과 평창군 대관령면 횡계리 사이에 있는 고개. 정상에는 대령원(大嶺院), 횡계리에는 횡계역이 있어 과거의 험준한 교통로를 유지하고 여객의 편리를 도모하였다. 현재는 영동고속도로의 대관령휴게소가 있으며, 여기에서 서쪽으로는 일반국도와 분기된다. 또한

  • 대구분지 / 大邱盆地 [지리/자연지리]

    낙동강과 그 지류인 금호강·신천 유역인 대구 지역의 분지. 남쪽과 북쪽으로는 높이 300m 이상의 높은 산지로 둘러싸이고, 서쪽과 동쪽으로는 높이 150m 내외의 구릉지로 둘러싸인 평지이다. 대구분지처럼 높은 산으로 둘러싸여 있는 지역은 분지기후를 나타낸다. 이 기후의

  • 대기점도 / 大奇點島 [지리/자연지리]

    전라남도 신안군 증도면 병풍리에 있는 섬. 2009년 기준으로 인구는 93명(남 50명, 여 43명)이고, 세대수는 45세대이다. 마을은 섬의 북쪽과 동쪽에 자리하고 있으며, 북쪽의 병풍도와 남쪽의 소기점도는 제방도로로 연결되어 있다. 토지이용 현황은 논 0.13㎢,

  • 대난지도 / 大蘭芝島 [지리/자연지리]

    충청남도 당진시 석문면 난지도리에 있는 섬. 2009년 기준으로 인구는 227명이 거주하고 있으며, 세대수는 129세대이다. 취락은 중앙부에 발달한 구릉의 동쪽 산록에 집촌을 이룬다. 토지이용 현황은 논 0.25㎢, 밭 0.10㎢, 임야 3.10㎢이다. 주민의 대부분이

  • 대덕산 / 大德山 [지리/자연지리]

    강원도 태백시 창죽동과 삼척시 하장면에 걸쳐 있는 산. 높이는 1,307m로, 태백산맥의 줄기인 중앙산맥에 속하는 산이다. 서쪽에 노목산(櫓木山, 1,150m), 남쪽에 금대산(金臺山, 1,096m)·함백산(咸白山, 1,573m), 동쪽에 육백산(六百山, 1,244m)

페이지 / 99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