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이총언 / 李悤言 [종교·철학/유학]

    858(헌안왕 2)∼938(태조 21). 신라 말 고려 초의 호족. 왕건이 고려를 건국한 뒤에 그에게 사람을 보내어 마음을 같이하고 힘을 합하여 화란을 평정할 것을 호소하자 매우 기뼈하며 아들 영을 보내어 군사를 거느리고 왕건을 도와 후백제와의 전쟁에 참여하도록 하였다

  • 이최응 / 李最應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815∼1882). 이하응의 형으로 민씨정권의 주요인물이며 영의정·총리대신을 지냈으며 연미론을 적극 수용하여 미국과의 조약 체결을 환영하였다. 이후 유림들의 비판을 받아 위치가 흔들리다 임오군란 때 살해되었다.

  • 이최중 / 李最中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15∼1784). 1751년 별시 문과에 을과로 급제, 세자시강원 사서·홍문관교리·수찬 등을 역임하였다. 1757년 이후 홍문관응교·삼척부사·대사간·이조참의·부제학·예조참판·대사헌·형조판서 등을 역임하였으며, 1770년 《문헌비고》 편찬 때 편집

  • 이춘근 / 李春根 [종교·철학/유학]

    1883(고종 20) - 1954. 이버지는 윤수, 어머니는 창원황씨이다. 부인은 박승구의 딸이다. 박우현에게 글을 배우기 시작했고, 1907년(순종 1) 고암 김세락에게 3~4년간 집중적으로 사사하여 학문이 크게 발전하였고 유림사회에 많은 문제를 신중하게 처리하였다

  • 이춘영 / 李春永 [정치·법제/정치]

    1869년(고종 6)∼1896년(고종 33). 한말의 의병장. 본관은 덕수. 1895년 안승우와 함께 의병을 일으켰다. 원주를 점령한 뒤 제천으로 진군하여 제천·단양·청풍·충주 등지에서 일본군을 격파함으로써 명성을 떨쳤다. 이후 유인석을 의병대장으로, 중군장이 되어

  • 이춘풍전 / 李春風傳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필사본. 국립도서관본·가람문고본·김기동(金起東) 소장본 등 3종이 있다. 그밖에 김영석이 1947년에 개작하여 협동문고로 간행한 「이춘풍전」이 있고, ‘부인관찰사’라는 표제의 활자본이 있다. 이 작품은 우리나라를 배경으로, 평범한 서민을 주

  • 이충 / 李沖 [종교·철학/유학]

    1568(선조 1)∼1619(광해군 11). 조선 중기의 문신. 보 7대손, 대 증손, 할아버지는 양, 아버지는 정빈, 어머니는 최희령의 딸이다. 1600년(선조 33)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무장현감, 성천부사, 형조정랑, 광주목사, 형조판서 등을 역임하였다.

  • 이충국 / 李忠國 [종교·철학/유학]

    1715년(숙종 41)∼1777년(정조 1). 조선 후기 문신. 증조는 이문한, 조부는 이재필, 부친은 이지. 외조부는 권태영, 처부는 남도형이다. 숙부 이천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1750년(영조 26) 식년시 병과 7위로 급제한 후, 고창군수로 부임하여 많은 선정을

  • 이충무공전서 / 李忠武公全書 [역사/조선시대사]

    조선 중기의 명장 이순신의 유고전집. 14권 8책. 활자본. 원집 8권과 부록 6권으로 되어 있다. 1795년(정조 19)에 왕명으로 교서관에 이를 관장할 국을 설치, 이순신의 유고와 관계 문건을 망라해 규장각검서 유득공의 감독·지휘 아래 편집, 간행되었다. 이 전서는

  • 이충무공진적 / 李忠武公眞蹟 [언론·출판]

    저자 이순신(1545-1598). 필사본. 책의 구성은 절첩장 6장 13절이다. 이 서첩은 이순신이 임진왜란 중 통영에 있을 때 수도하는 자세로 적은 글을 이가원이 편집하여 만든 것이다. 1장은 '가이규득성장심법 병인국유황화일 기가원경제'라고 썼다. 2장에는 8개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