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이천보 / 李天輔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698∼1761). 1739년 알성문과에 을과로 급제한 뒤 장령·이조참판·병조판서·영의정 등 요직을 두루 역임하였으나 장헌세자의 평양 원유사건에 책임을 지고 자결하였다. 저서로《진암집》이 있다.
이천봉 / 李天封 [종교·철학/유학]
1567(명종 22)∼1634(인조 12). 조선 후기의 문신. 1601년(선조 34) 사마시에 합격하였다. 형 천배와 함께 정구를 사사하였으며, 1620년(광해군 12) 정구가 죽자 그의 원묘를 짓고 신도비의 건립과 문집간행에 노력하였다. 1627년(인조 5) 정묘호
이천분지 / 伊川盆地 [지리/자연지리]
강원도 이천군의 남서부에 있는 분지. 동서 거리는 30㎞, 남북 거리는 25㎞, 면적은 548㎢이다. 경지는 군 면적의 30%가량을 차지하는데 이중 논이 17%, 밭이 80%이고 3%는 과수원 등이다. 주요 농산물은 논벼를 비롯하여 보리·밀·옥수수·감자 등이며 잎담배·
이천상 / 李天相 [종교·철학/유학]
1637(인조 15)∼1708(숙종 34). 조선 후기의 학자. 아버지는 군정, 어머니는 민희남의 딸이다. 배유장의 문인으로 성리학에 정통, 일상생활에 몸소 실천하려고 노력하였고, 항상 이황·이재를 사숙하였다. 영천의 신계 상류에 살았기 때문에 신계옹이라 불렀다. 저서
이천식천 / 以天食天 [종교·철학]
동학의 2대 교주 최시형이 제시한 종교사상. 최시형은 1881년에 7년 전부터 금지해 오던 어육과 술, 담배에 대한 금지를 해제하였다. 그리고 1885년 설교중에 '천지만물이 모두 한울을 모시고 있다. 이천식천은 우주의 상리이다'라고 말하였다. 나중에 천도교에서는 모든
이천향교 / 利川鄕校 [교육/교육]
경기도 이천시 창전동에 있는 향교. 조선시대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안흥사(安興寺)에서 지도하던 생도를 이곳으로 옮겨 학문하게 하고, 석전례(釋奠禮)를 베풀었다고 한다. 현존하는 건물로는 6칸의 대성전, 5칸의
이철견 / 李鐵堅 [종교·철학/유학]
1435(세종 17)∼1496(연산군 2). 조선 전기의 무신. 원보 증손, 할아버지는 승, 아버지는 연손, 어머니는 윤번의 딸이다. 세조비 정희왕후의 동생이다. 한성부판관, 훈련원도정, 평안도절도사, 경상도관찰사, 대사헌, 도총관 등을 역임하였다.1493년에 척신으로
이철보 / 李喆輔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691∼1775). 1723년(경종 3) 별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이듬해 예문관검열로 기용된 뒤 중앙의 삼사와 각 조의 판사를 역임하였고 지방관 및 암행어사를 수행할 때는 탐관오리를 적발하고 민정을 시찰하였다. 1752년 《국조오례의》를
이체자 / 異體字 [언어/언어/문자]
‘훈민정음’의 초성 17자 가운데, “체(體)를 달리하여 후음의 기본자에 가획을 하여 만든 ‘ㆁ’, 기본자에 획을 더하여 만들었지만 가획의 의미가 없는 ‘ㄹ, ㅿ’을 아울러 일컫는 말. 『훈민정음』의 「제자해」에서는 이 세 글자도 기본자에 가획하여 만들었으나 ‘가획의
이총 / 李摠 [역사/조선시대사]
?∼1504(연산군 10). 조선 중기의 종실. 태종의 증손, 아버지는 이종이다. 이종은 이정의 양자로 들어가 대를 이었으며, 생부는 근녕군 이농이다. 이총의 첫째 부인으로 평양조씨, 둘째 부인으로 의령남씨가 있는데, 의령남씨는 생육신의 한 사람인 남효온의 딸이다. 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