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이진만 / 李鎭萬 [종교·철학/유학]

    1675년(숙종 1)∼1752년(영조 28). 조선 후기 유학자. 부친 이기정의 4남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동생으로는 이진화·이진방·이진영이 있다. 1702년(숙종 28) 식년시 진사 3등 53위로 합격하였으나 과거 공부에는 뜻이 없어 명승지를 찾아다녔다. 교유한

  • 이진만 / 梨津灣 [지리/자연지리]

    함경북도 부령군 관해면 소청동에서 삼해면 가진동 사이에 있는 만. 동쪽에 돌출한 화단반도(花端半島)에 의하여 낙산만(洛山灣)과 분리되고, 서쪽은 수평동의 비소단반도(非所端半島)에 의하여 형성된 만으로 만구의 너비는 약 6.5㎞이다. 소청천(素淸川)이 관해면과 삼해면의

  • 이진망 / 李眞望 [종교·철학/유학]

    1672(현종 13)∼1737(영조 13). 조선 후기의 문신. 경석 증손, 할아버지는 철영, 아버지는 우성, 어머니는 정이화의 딸이다. 1711년(숙종 37)에 식년문과에 장원급제하여, 지평·정언을 거쳐 1725년(영조 1) 대사성으로 소론인 이광좌의 신원을 상소하였

  • 이진백 / 李震白 [문학/한문학]

    조선후기 『서암유고』를 저술한 문인. 선성군(宣城君) 이무생(李茂生)의 7대손으로, 아버지는 호조참판에 증직된 이정방(李定邦)이며, 어머니는 부사 조위(趙撝)의 딸이다. 1657년(효종 8) 사마시에 합격하고, 7년 뒤인 1664년(현종 5) 순릉참봉(順陵參奉)을 첫

  • 이진사전 / 李進士傳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권 1책. 한글필사본·활자본. 선비와 기생의 연애 및 애정생활에 따르는 고난을 다룬 작품이다. 이 작품은 주인공이 본의 아니게 첩을 두게 되었다는 것과 첩과의 애정관계를 지속하기 위하여 수많은 고난을 겪었다는 것을 사건의 근간으로 한다.

  • 이진상 / 李震相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유학자(1818∼1886). 청나라에 대해 사대의 예를 폐하자는 상소 및 서원철폐령 반대운동 등 정치에 관한 활동을 펼쳤으나 뜻을 이루지는 못하였다. 학문적으로는 주자와 이황의 주리론을 발전시켰으며《이학종요》외에 많은 저서가 있다.

  • 이진유 / 李眞儒 [종교·철학/유학]

    1669(현종 10)∼1730(영조 6). 조선 후기의 문신. 경직 증손, 할아버지는 정영, 아버지는 대성, 어머니는 홍만용의 딸이다. 만성에게 입양되었다. 1707년(숙종 33) 사마시에 합격하여 진사가 되고, 그 해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이조참의, 부제학,

  • 이진택 / 李鎭宅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1738∼1805). 1780년(정조 4) 식년 문과에 병과로 급제, 승문원부정자를 거쳐 성균전적·예조정랑·사헌부감찰·병조좌랑·사헌부지평·장령 등을 역임하였다. 1793년 대간으로 있을 때 사노비혁파를 주장한 상소를 올려 사노혁파에 결정적 계기

  • 이진휴 / 李震休 [종교·철학/유학]

    1657(효종 8)∼1710(숙종 36). 조선 후기의 문신. 지정 증손, 할아버지는 숭진, 아버지는 영, 어머니는 정만화의 딸이다. 1682년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으며, 1686년에는 전적으로서 중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동지의금부사, 안동부사, 예조참판,

  • 이집 / 李集 [종교·철학/유학]

    1327(충숙왕 14)∼1387(우왕 13). 고려 후기의 학자·문인. 당의 아들이다. 충목왕 때 과거에 급제하였으며, 문장을 잘 짓고 지조가 굳기로 명성이 높았다. 이색·정몽주·이숭인과의 친분이 두터웠다. 광주의 구암서원에 제향되었다. 저서에 ≪둔촌유고≫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