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이지 / 梨旨 [지리/인문지리]
경상북도 영천 지역의 옛 지명. 본래 영주(永州)에 소속된 이지은소(梨旨銀所)였는데, 1018년(현종 9) 영천(永川)과 함께 경주에 소속되었다. 고려 충숙왕 때 이지현으로 승격시켜 다시 영주의 임내로 하였다가,1394년(태조 3) 신녕현(新寧縣)의 속현으로 하였다.
이지도 / 李至道 [종교·철학/유학]
1549년(명종 4)∼미상. 부는 이언핍이다. 28세 때인 1576년(선조 9) 병자 식년시 생원 2등 16위로 합격하였다. 우계 성혼의 문인이다. 음사로 참봉에 제수되었다. 좌승지에 증직되었으며 전주 보광사에 향사되었다.
이지번 / 李之蕃 [종교·철학/유학]
?∼1575(선조 8). 조선 중기의 학자. 아버지는 치,『토정비결』로 유명한 지함의 형, 산해의 아버지이다. 천문지리에 모두 정통하였다. 인종 때 문음으로 추천되어 장례원사평이 되었으나 당시 윤원형이 국권을 잡아 횡포하므로 벼슬을 버리고 단양의 구담에 집을 짓고 정신
이지수 / 李趾秀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79∼1842). 1813년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승문원부정자가 되었다. 1825년 옥구현감으로 재직 시에는 민폐를 없애고 백성을 구휼하는 한편 향약을 만들어 교화에 힘썼다. 1831년 동부승지가 되어서는 여러 차례 소대에 응하여 국가기본정
이지순 / 李志淳 [종교·철학/유학]
1762년(영조 38)∼1807년(순조 7). 조선 후기 문신·유학자. 부친은 이구응이다. 희릉참봉·제용부봉사·사옹원주부·한산군수·경산현감 등을 두루 역임하였다. 옛 성현들의 유묵을 모아 25책에 이르는 첩으로 만들어서 소장하였으며, 매일 아침 성현들의 글을 모아 정
이지용 / 李址鎔 [정치·법제/외교]
대한제국 외부대신 서리. 을사늑약 서명자. 친일파(1870∼1928). 1887년(고종 24)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 1898년 황해도관찰사, 경상도관찰사, 궁내부협판, 주일전권공사, 의정부찬정, 외부대신서리로서 주한일본공사 하야시와 한일의정서를 협정 조인하였다.
이지함 / 李之函 [종교·철학/유학]
1517-1578. 조선 선조대 유학자. 서경덕에게서도 배웠다. 평생 학문에 전념하다가 1573년 포천과 아산의 현감을 지냈다. 당시 걸인청을 만들어 빈민구호에 노력하였다. 경사자전과 복서, 천문, 지리, 음양 등 제가잡술에 능통하였다. 특히 상수학에 정통하였다. <
이지효 / 李止孝 [종교·철학/유학]
1553∼1613. 조선중기의 문신. 아버지는 유근이다. 선전·도총·경력을 거쳐 보령·박천·창성 등의 수령을 역임하였다. 1603년(선조 36) 군기시부정, 구성부사, 만포진첨절제사로 나가 야인을 안무하였다. 1612년(광해군 4) 충청도수군절도사에 특진되고, 161
이진 / 李珍 [종교·철학/유학]
생몰년 미상. 고려 후기의 문신. 1308년(충선왕 즉위년) 왕명으로 왕륜사 주지 인조 등 21명과 더불어 왕이 특별히 부르지 않아도 궁내에 출입할 수 있는 총신 가운데 한 사람이 되었으며, 곧 이어 왕이 원나라에 있을 때 간신들의 음모를 막아주고 충절을 바친 공이 있
이진 / 李軫 [종교·철학/유학]
1536(중종 31)∼1610(광해군 2). 조선 중기의 문신. 일찍이 이황의 문인이 되어 유성룡과 더불어 수학하였다. 1593년(선조 26) 임진왜란 당시 좌랑으로서 민여경과 함께 의주에서 경성으로 양곡을 선박으로 수송하는 임무를 맡았다. 1597년 정유재란이 일어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