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이주정 / 李周楨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50∼1818). 1795년(정조 19) 춘당대시 병과 에 급제하였다. 정조의 국상을 당하여 가주서로 입직하였는데 일을 잘 처리하였다 하여 특별히 내구마와 후추 등을 상으로 받았다. 1813년(순조 13)에는 사헌부지평이 되고 3년 뒤에 다시

  • 이준 / 李儁 [정치·법제/정치]

    조선 후기의 순국열사·애국계몽운동가(1859∼1907). 일제와 친일조직인 일진회에 맞서 대한보안회·공진회 등을 조직하였다. 을사늑약의 부당함을 세계에 알리기 위해 이상설·이위종과 함께 헤이그 세계평화회의에 참석하려고 하였으나 일제의 방해로 뜻을 이루지 못하고 순국하

  • 이준 / 李埈 [종교·철학/유학]

    1560(명종 15)∼1635(인조 13). 조선 후기의 문신. 조년의 증손, 할아버지는 탁, 아버지는 수인, 어머니는 신씨이다. 유성룡의 문인이다. 1582년(선조 15) 생원시, 1591년(선조 24) 별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해 교서관정자가 되었다. 임진왜란시 정

  • 이준경 / 李浚慶 [종교·철학/유학]

    1499(연산군 5)∼1572(선조 5). 조선 중기의 문신. 극감의 증손, 할아버지는 세좌, 아버지는 수정, 어머니는 신승연의 딸이다. 1537년 김안로 일파가 제거된 뒤 다시 등용되어 세자시강원필선·사헌부장령·홍문관교리 등을 거쳐 대사헌, 우의정을 역임하였다. 저

  • 이준민 / 李俊民 [종교·철학/유학]

    1524(중종 19)∼1590(선조 23). 조선 중기의 문신. 건 증손, 할아버지는 정윤, 아버지는 공량, 어머니는 조언형의 딸이다. 영남의 대학자인 조식이 그의 외숙이다. 1549년(명종 4) 식년 문과에 병과로 급제해 경기도관찰사, 공조참판, 병조판서 등을 역임하

  • 이준용옹립사건 / 李埈鎔擁立事件 [역사/근대사]

    흥선대원군의 적손(嫡孫) 이준용을 국왕으로 옹립하려다 실패한 사건. 이재면의 아들 준용을 그의 숙부 고종 대신 조선왕조의 왕으로 추대하고 대원군으로 하여금 섭정하려는 음모는 1886년, 1894년 두 차례에 걸쳐 시도되었다. 그러나 국왕 및 왕비를 추종하는 일부 근왕파

  • 이중경 / 李重慶 [종교·철학/유학]

    1517(중종 12)∼1568(선조 1). 조선 중기의 문신. 극견의 증손, 할아버지는 반, 아버지는 영부, 어머니는 이효완의 딸이다. 장령 수경의 동생이다. 1546년(명종 1) 생원으로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 1548년 검열이 되었다. 이듬해 정언·부수찬, 155

  • 이중국 / 李重國 [예술·체육/체육]

    일제강점기 조선체육회 창립총회발기인, 창립준비위원으로 활동한 체육인. 생몰년 미상. 보성중학교 1학년을 마치고 일본으로 건너가 세이가쿠원중학(聖學院中學)을 졸업한 후, 게이오대학(慶應大學) 예과에 입학하였다.평소에 운동을 좋아하여 게이오대학 재학 시절인 1917년에는

  • 이중균 / 李中均 [종교·철학/유학]

    1861년(철종 12)∼1933년. 조선 말기의 학자. 아버지는 이만창, 어머니는 구계조의 딸이다. 1883년(고종 20) 방경응제시에 합격하였다. 독학으로 30세에 성균관에 유학, 이남규·이병칠·오상필 등과 학문을 강론하였다. 1893년 성균관에 월과가 설치되었을

  • 이중립 / 李中立 [종교·철학/유학]

    1533(중종 28)~1571(선조 4). 부는 이해이다. 26세 때인 1558년(명종 13) 식년시 진사 1등 장원으로 합격하여 발탁되었고, 학봉 김성일과 도의로써 사귀었다. 1568년 부친상을 당하여 3년 동안 시묘살이를 하다가 병을 얻어 복을 마친 이듬해인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