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이조 / 吏曹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조선시대 문선·훈봉·고과 등에 관한 일을 관장하던 관서. 육조의 하나이다. 조선시대에는 1392년(태조 1) 문선·훈봉·고과 등에 관한 일을 맡도록 규정되었는데 이것이 ≪경국대전≫에서 확정되었다. 그러나 실제 기능은 왕권이나 여러 정치기구와의 역학관계로 강약

  • 이조 / 李肇 [종교·철학/유학]

    1666(현종 7)∼1726(영조 2). 조선 후기의 문신. 상질 증손, 할아버지는 훤, 아버지는 한익, 어머니는 남일성의 딸이다. 1696년(숙종 22)에 정시문과에 을과로 급제 예문관검열, 강원도관찰사, 평안도관찰사, 예조참판, 예조판서 등을 역임하였다.

  • 이조년 / 李兆年 [종교·철학/유학]

    1269(원종 10)∼1343(충혜왕 복위 4). 고려 후기의 문신. 장경의 아들이다. 1294년(충렬왕 20) 향공진사로 문과에 급제하여 안남서기에 보직되고, 감찰장령, 정당문학, 예문관대제학 등을 역임하였다. 1339년 충혜왕이 복위하자 성산군에 봉해졌다.

  • 이조어사전 / 李朝語辭典 [언어/언어/문자]

    유창돈(劉昌惇)이 편찬한 고어사전. 1964년 연세대학교출판부에서 발행하였다. 조선시대 문헌에 나오는 한글표기의 모든 어휘를 모아 분석하고 풀이하였다. 이 사전에는 조선시대 문헌에 기록된 어사를 모두 채록하여 이조어 중 한자표기어는 제외하고 정음표기어(正音表記語)만 실

  • 이조열성어필 / 李朝烈聖御筆 [언론·출판/출판]

    자부(子部) - 예술류(藝術類) 편자미상, 목판본, 불분권 1책(94장). 조선 역대왕의 행초서 필적과 그림을 엮은 대형의 목판본이다.

  • 이족촌 / 吏族村 [사회/촌락]

    조선시대의 중인인 향리·서리가 집단적으로 거주한 마을. 이족은 지위의 세습 여부에 따라 그 지방출신으로 아전을 대대로 맡는 향리와 다른 지방에 와서 임시로 근무하는 가리(假吏)로 구분할 수 있다. 이족촌은 전자가 집단적으로 거주한 마을을 가리킨다. 이 마을은 중앙과

  • 이존수 / 李存秀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72∼1829). 경상도관찰사 때 흉년을 구제하여 생사당이 세워졌고, 함경감사 때 조적을 바로잡는 오조변통책을 강구하였다. 우의정과 좌의정 때 시정의 폐단 척결을 과감히 주장했으며, 논주함에 직언으로 하며 아첨하지 않았다. 좌의정 재직 중 죽었다

  • 이존오 / 李存吾 [종교·철학/유학]

    1341(충혜왕 복위 2)∼1371(공민왕 20). 고려 후기의 문신. 1360년(공민왕 9) 문과에 급제, 수원서기를 거쳐 사관에 발탁되었다. 1366년 우정언이 되어 신돈의 횡포를 탄핵하다가 왕의 노여움을 샀으나, 이색 등의 옹호로 극형을 면하고 장사감무로 좌천되었

  • 이종무 / 李從茂 [종교·철학/유학]

    1360(공민왕 9)∼1425(세종 7). 조선 전기의 무신. 1381년(우왕 7) 아버지와 함께 강원도에 침입한 왜구를 격파한 공으로 정용호군이 되었다. 1397년(태조 6) 옹진만호로 재직중 왜구가 침입해 성을 포위하자 끝까지 싸워 격퇴하였다. 그 공으로 첨절제사

  • 이종상 / 李鍾祥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1799∼1870). 조부 이헌석에게 수학하였고, 시폐의 대책을 상소하여 왕에게 책자를 상으로 받았다. 사설금지를 주장하였고, 미국의 셔먼호 침범을 토벌하는 경주진 소모장이 되었다. 김매순·남고·한운성과 서신으로 태극과 심성을 논하였으며, 대사헌